전북 국회의원들이 최근 국회를 집어삼킨 ‘역사관 논쟁’에 참전했다. 22대 국회는 21대와 다르게 전북 의원들이 더불어민주당 전면에서 정부를 상대로 격한 투쟁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번 내각 인사들의 ‘친일 논란’과 역사관 문제에 있어서도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5일 정치권 상황을 종합하면 이 문제에서 가장 먼저 두각을 나타낸 건 5선 정동영 의원(전주병)이다.
정 의원은 지난 7월 당시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의 역사관과 가치관에 대해 질의하면서 극우적 역사관에 대해 정의를 내린 바 있다.
그는 이어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을 상대로도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예결소위 위원장으로서 예산 전액 삭감을 경고했는데, 그 명분으로 김 대행의 가치관을 들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인 안호영 의원 (완주·진안·무주)은 “일제시대 우리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직접 상대했다. 안 의원은 환노위에서 앞으로도 김 장관의 역사관과 관련해 극한 대치가 불가피한 위치다.
안 위원장은 김 장관에게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만들어졌을 때 대한민국이 건립됐다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 인정하지 않는다는 얘기냐”고 물었고 김 장관은 “임시 정부는 임시일 뿐(국가가 아니다)”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자 안 위원장은 “그런 시각이 제헌 헌법 헌법 정신에, 제헌 헌법 전문에도 맞지 않고 현행 헌법 전문에도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문제는 국회 예결위 회의와 본회의에서도 계속 불거질 문제로 안 위원장의 노동부 관련 회의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신영대 의원(군산·김제·부안갑)은 예결위 전체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를 상대로 뉴라이트의 실체에 대해 집중 질문했다. 최근 친일적 역사관의 근원지로 지목되는 뉴라이트와 정부 인사의 관련성이 있냐는 것이다.
한 총리는 이에 “(뉴라이트에 대해)모른다. 관심도 없다”며 “그러면 뉴레프트도 있나”며“(뉴라이트 용어를) 보수가 만들었는지 좌파가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자유민주주의만 있을 뿐”이라고 답했다.
한 총리는 급기야 신 의원을 상대로 목소리를 높였고, 두 사람 간 뉴라이트 인사에 대한 공방이 오갔다.
윤준병 의원 역시 예결위 회의에서 친일 공방의 연장선상으로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를 다시 한 총리에 꺼내들었다.
전북 의원들은 민주당에서 진행하는 신친일파 척결 뉴라이트 거부 릴레이에도 동참했다.
윤준병 의원은 릴레이 다음주자로 정동영, 박희승 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을 지목했다.
이원택 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도 지난 4일 릴레이에 참여해 문승우 전북도의회 의장을 다음 주자로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