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정보 유출 ‘심각’, 당사자들은 ‘무감각’

 홍석현 기자

지방선거가 아직 2년 가까이 남았지만 이번 추석 연휴를 전후한 신규 입당원서 ‘이벤트’가 기록적인 9월 무더위만큼 뜨거웠다. 

더불어민주당 후보군들은 벌써부터 당선으로 직결되는 공천 작업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그런 선거판이기 때문에 후보군들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수백, 수천 장의 입당원서를 받아 소속 정당에 제출하느라 ‘혈안’이다. 

최근 부안지역에서 A씨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확보한 개인정보’라고 하면서 당사자 동의 없이 개인사업 홍보에 이용, 물의를 빚고 있다. 

특히 민주당이 당원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확보한 상당수의 당원은 물론 부안지역 공무원 정보까지 활용한 것이어서 충격적이다. 

하지만 민주당 전북도당, 부안지역위원회, 부안군청은 남의 일처럼 이야기하고 있다. 

2년 전 정부는 총리 주재 회의를 열어 개인정보 취급에 부주의한 공무원에 대한 처벌을 강화했지만, 부안군은 공무원 개인정보 무단 유출에 대해 쉬쉬하는 모양새다.

민주당은 전 전북도당 청년위원장, 다청년 중앙 회장 등 왕성하게 활동하는 A씨의 개인정보 사적사용 및 유출 의혹에 대해 나몰라란 반응이다.  

민주당 전북도당 이원택 위원장은 “전북도당 컴퓨터를 통해 당원명부가 유출되지 않았다. 도당에 제출된 명부는 도당에서 책임지지만, 제출되지 않은 입당원서 등의 관리 책임은 없다”며 개인 사업에 활용했다면 그 개인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에서 책임 있는 간부 당원의 개인정보 불법 유출이 의심되고, 그 사용이 명백하게 불법적인데도 불구하고 ‘유감스럽다’는 표현은 없고, 그저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다.

비록 A씨가 확보한 개인정보가 전북도당에서 유출된 흔적이 없다고 해도 A씨는 분명히 상당수 당원들이 입당하며 민주당에 제공한 개인정보, 그리고 공무원 개인정보까지 사적 이익을 위해 사용했다. 그에 대해 이원택 의원은 직접 책임이 없으니, 아무런 일도 아니란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