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수 감소와 이에 따른 지방교부액 감소로 각 지자체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지만, 전북개발공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출연출자기관중 유일하게 비상임이사에 대해 매달 월정수당을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장연국 의원(비례대표)은 도의회 3층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414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개공이 5명의 비상임이사 한명에게 지급하는 월정수당은 한사람당 90만원으로 연간으로 치면 5400만원에 달한다"며 "돈의 많고 적음은 둘째 문제이고 별다른 활동도 하지 않는데 회의 참석수당과 별도로 월정액으로 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누가 보더라도 지나치며, 월정수당은 폐지가 답"이라고 말했다.
장 의원에 따르면 9월 초 기준 타지역 도시개발공사 비상임이사의 월정수당 지급현황은 경기주택도시공사가 150만원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130만원, 서울주택도시공사, 충남도시개발공사 100만원, 전북 90만원 순으로 5번째로 많았다.
나머지 지역도 최소 50만원에서 80만원까지 월정수당을 지급하고 있었다. 대전도시공사와 대구도시개발공사는 아예 지급하지 않고 있었다.
장 의원은 "전개공 입장에선 행안부 지방공기업 인사조직 운영기준에 따라 '지급 가능'하다는 근거를 들어 지급하고 있지만, 전북도세가 타지역보다 좋은 것도 아니고 부채비율을 줄이겠다며 출자만 이어오던 공사가 월정수당을 높게 쳐주고 있는것은 선심"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타지역처럼 수당을 낮추거나 아예 대전이나 대구처럼 월정수당을 폐지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