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종량제 도입 이후 사라졌던 ‘공공 쓰레기통’을 부활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지역 곳곳의 쓰레기 무단 투기와 무분별한 전단지 살포, 버려진 담배꽁초 등이 도시 미관을 해치고 있어서다.
28일 익산참여연대에 따르면, 시민 정책평가단 사업 일환으로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익산시민 35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공공장소 쓰레기통 설치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3%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는 공원과 체육시설 응답이 30.3%로 가장 많았고, 유동인구 많은 대로변이 23.5%, 시내버스 정류장이 19.0%, 대표 관광지가 16.6%, 대학로 및 상가(밀집지역)가 9.1%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곳곳에 아무렇게나 버려진 쓰레기가 도시 미관을 해치고 공원이나 관광지 등에서 ‘쓰레기 버릴 곳이 없다’는 불편 호소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도심 거리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쓰레기통은 1995년 쓰레기 종량제 전면 시행 이후 자취를 감췄다.
생활쓰레기 배출량을 감소시키겠다는 취지였지만, 일부 가정이나 가게에서 비양심적으로 내다버리는 쓰레기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와 미관 훼손 등이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거리 곳곳은 물론이고 다세대·다가구 주택이나 일부 농촌지역의 경우 분리수거는커녕 음식물 쓰레기까지 무단으로 버려지는 일이 비일비재해 도시 이미지를 훼손하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공공 쓰레기통이 부활하면 종량제의 취지인 생활쓰레기 배출량 감소 효과가 줄어들고 이를 악용하는 비양심 얌체족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이에 시민의식 개선 작업을 선행하고 쓰레기 무단 투기가 빈번한 곳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해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실제 서울시는 지난 4월에 새롭게 디자인한 서울형 길거리 공공 쓰레기통 30개를 시범 설치하면서 공공 공간의 새로운 이미지 창출을 꾀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익산참여연대는 “공공장소 쓰레기통 설치는 비용과 관리 문제 등 현실적인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