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군산예술의전당에 있는 군산시민문화회관 상징물을 다시 옮겨와야 합니다.”
시민문화회관이 문을 닫은 지 11년 만에 재개관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이곳 건립 당시 함께 만들어진 상징 조형물인 '해조음(海潮音)'을 원래 있던 자리로 돌려놔야 한다는 여론이다.
시민문화회관은 지난 1989년에 개관한 후 20년 넘게 지역 대표 문화예술 활동 공간으로서 역할을 해오다 지난 2013년 군산예술의전당 개관에 따라 운영이 중단된 바 있다.
그동안 시는 시민문화회관에 대해 여러 차례 매각을 시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고, 좀처럼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면서 지역 대표 골칫거리로 전락하기도 했다.
그러다 지난 2019년 12월 시민문화회관이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인정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새 활로를 찾기 시작했으며, 이후 리모델링을 거쳐 내달 중 전시장‧공연장‧카페‧라운지바‧전망대 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개관될 예정이다.
시민문화회관은 故김중업 건축가의 유작으로, 건축학적·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이곳 건물이 매각이 아닌 재생사업을 통해 그 의미를 계승하고 시민과 지역사회를 위한 문화공간으로 재탄생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민문화회관과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온 상징 조형물인 ‘해조음’도 다시 원위치 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해조음’은 한국 근현대 조각사의 거장 故 백문기 씨가 제작한 수작이며, 지난 1989년 5월 시민문화회관 개관과 함께 제90주년 군산시민의 날을 맞아 (주)한국유리가 군산시에 기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문기 작가는 1952년 대통령 표창, 1982년 서울시문화상, 1995년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한 당대 최고의 조각가로 평가받은 인물이다.
이에 시는 시민문화회관이 매각 될 것을 염두해 역사성과 예술적 가치가 있는 ‘해조음’을 보존하기 위해 군산예술의전당 뒤편으로 옮겼다.
다만 이전한 지 수년이 지난 지금,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겠다는 시의 의도와 달리 시민들의 눈에 쉽게 띄지 않는 한 쪽 구석에서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 상징물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 상징물에 적혀 있는 문구와 예술의전당과 전혀 연관성도 없다보니 괴리감마저 느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민 김모 씨(53)는 “시민문화회관 상징물이 군산예술의전당 한편에 버려진 느낌”이라며 “나름 지역의 훌륭한 자원인데 제자리에서 예술적 가치는 물론 역사성을 이어갈 필요성이 있다”고 피력했다.
또 다른 시민 박모 씨(45) 역시 “시민문화회관이 다시 시민 품으로 돌아오는 만큼 위치와 상징성이 전혀 연결되지 않는 곳에서 해조음을 계속 놔둘 이유는 없는 것 같다"며 "이 참에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