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장기적인 대형 프로젝트를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그동안 발표한 왕의 궁원 프로젝트와 호남제일문 복합스포츠타운, 전주종합경기장 MICE산업단지에 이어 이번에는 ‘2034 영화·영상산업 비전’을 내놓았다. 대개 10∼20년이 걸리는 장기계획인데다 5000억∼1조6000억원이 소요되는 매머드급이다. 큰 그림을 그리는 것은 좋으나 지속 가능성과 구체적인 재원 마련 대책이 뒷받침되었으면 한다. 자칫 공허한 메아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30일 ‘2034 영화·영상산업 비전’을 발표했다. 완산구 상림동·고사동, 덕진구 만성동·북부권·전주역을 특화한 '영화·영상산업 펜타콘 벨트'로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기업 200개 유치, 직접 일자리 1000개를 비롯해 관련 사업 간접 일자리 6000여 개 창출 등 연 매출 2000억 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비전은 전주가 세계적인 영화·영상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사업비는 10년간 5750억 원이다.
이에 앞서 우 시장은 지난해 4월 왕의궁원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후백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는 문화유산을 활용해 전주의 미래 관광자원을 육성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이다. 여기에 2042년까지 20년간 1조6058억원을 투입하겠다고 했다. 또 호남제일문 복합스포츠타운 대표관광지 조성은 2030년까지 공공체육시설 집적화에 5022억, 2040년을 목표로 한 스포츠 연계 관광 인프라 조성에 8750억 원을 투입키로 했다. 두 사업에 1조3772억 원이 소요된다. 그리고 전주종합경기장 MICE복합단지사업은 2028년까지 전주종합경기장 일대에 1조302억원을 투입해 대규모 전시컨벤션센터와 호텔, 판매시설 등을 갖출 계획이다.
이처럼 크게 밑그림을 그리는 것은 나무랄 일이 아니다. 오히려 지금까지 우물안 개구리식의 작은 계획들만 남발된 것에 비하면 통 큰 미래 비전이라 볼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발표가 지속가능성과 재원대책을 현실성있게 담보할 수 있느냐 여부다. 이들 4개 사업에 들어가는 사업비만 5조 원에 육박한다. 재원은 대부분 민간투지와 국가공모를 통해 마련한다는 것이다. 다음 선거에서 시장이 바뀌면 휴지조각이 될 수도 있다. 전주시는 계획 발표와 함께 현실적인 실천방안도 제시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