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의 AI 도입이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10월 23일까지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인공지능 활용의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AI를 적용 중인 중소기업은 5.3%에 불과했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94.7%가 AI를 활용하지 않고 있으며, 향후 AI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도 16.3%에 그쳤다. AI를 적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사업상 필요성을 못 느낀다'(80.7%)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경영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모른다'(14.9%), 'AI 도입 및 유지 비용 부담'(4.4%) 순으로 나타났다.
AI 기술 도입을 계획 중인 분야로는 '비전 시스템을 통한 결함탐지·불량률 요인분석'(44.7%)이 가장 높았다. 이어 '새로운 시장·고객 개척, 마케팅/광고'(37.7%), '과거 판매데이터 분석 및 향후 판매예측'(31.3%) 순이었다. 특히 제조업체들은 결함탐지 분야를, 서비스업체들은 마케팅 분야의 AI 활용을 선호했다.
AI 활용을 위한 지원사항으로는 '도입 시 금융 및 세제 혜택'(84.0%)과 '산업 및 기업 규모 맞춤형 성공사례 및 성과 홍보'(66.3%)가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주요 장애요인으로는 '기업 맞춤형 응용서비스 부족'(64.0%), '투자가능 비용부족'(54.0%), '활용 가능한 데이터 및 기반정보의 한계'(43.0%)가 지적됐다.
향후 3년 내 AI 도입 계획과 관련해 79%의 기업이 '교육 및 컨설팅' 단계를 고려하고 있었다. AI 도입 후 운영·관리 인력은 '전문용역 아웃소싱'(45%)과 '기존 IT 또는 기술인력 활용'(42.7%)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시대의 중요한 의제인 AI 기술마저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AI에 대한 이해·활용능력을 높이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