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교육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전북대학교 제57대 총학생회는 5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언에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이 조치는 민주주의의 근본 원칙인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한 행위”라고 밝혔다.
이어 “(계엄은)민주적 절차를 존중해야 하는 정부의 제1 의무를 저버린 개탄스러운 행위”라며 “국민의 목소리를 억압하고, 이를 불법으로 간주하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이 상황에 대해 깊은 실망과 분노를 느낀다”고 덧붙였다.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학생 일동도 “계엄 선포 후 국회를 폐쇄, 무단 점거를 시도하고 여야 대표와 국회의장을 체포해 계엄해제 요구를 무산시키려 했다”면서 “일련의 사태는 21세기 민주주의 국가라곤 상상할 수 없는 반민주적 횡포로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에 책임지고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전북대 사학과 100인 일동 역시 “헌정질서를 파괴하고, 국민의 삶을 방치하며, 독단적 국정 운영을 지속하는 대통령은 민주주의를 붕괴시킨 주범”이라며 “대통령을 즉각 탄핵하고, 관련자들을 철저히 조사해 사법적으로 심판 할 것”을 주장했다.
전북대 공과대 학생회 또한 “대통령의 (계엄) 행위는 독재와 다름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단언한다”며 “이러한 시국에 침묵하는 것은 곧 민주주의에 대한 배신이라 할 수 있을 것으로 학우 및 시민과 함께 끝까지 싸워나갈 것”이라고 했다.
전북대신문 기자 일동도 “비상계엄 선포는 민주국가로 손꼽히는 우리나라의 명예를 무참히 더럽힌 행위”라며 “(대통령은) 모든 책임을 인정하고, 자진 사퇴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원광대학교 총학생회 역시 이날 “헌법적 원칙과 국민의 권리를 침해한 자들에 대해 엄중한 처벌을 요구한다”면서 “헌정질서를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도 용납될 수 없으며, 이 땅의 민주주의를 수호하려는 우리의 결의는 흔들림없이 계속될 것”이라고 했다.
윤석열 정권의 퇴진을 촉구하는 전북특별자치도 퇴직 교사 186명 일동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퇴직 교사들은 반헌법적 비상계엄 선포, 국정 농단, 권력 남용, 민주주의 파괴 윤석열 정권의 퇴진 및 구속 수사를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우리 퇴직 교사들은 윤석열 정권의 퇴진에 머물지 않고, 국민이 주인 되는 세상을 만드는 투쟁을 지속할 것을 결의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북대 전북대학교 교수회와 직원협의회, 총동창회 역시 지난 4일 시국선언을 통해 “헌법과 법률이 정한 요건과 절차를 결한 위헌적이고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고 비상계엄 선포에 관여한 자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처벌을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