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전북 경제는 고물가, 고금리, 경기침체라는 삼중고에 직격탄을 맞으며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물가는 치솟고 소득은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서민들의 삶은 더욱 팍팍해졌고, 자영업자들의 폐업률은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주택 대출금리 인상으로 경매로 넘어가는 주택도 급증하면서 도내 서민경제는 붕괴 직전에 내몰렸다. 대출 규제 완화와 서민금융 지원책이 마련돼야 하는 이유다.
이 같은 상황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갈수록 줄면서 청년들이 전북을 떠나고 있다.
장기 불황속 버거운 서민들의 삶과 젊은 층의 인구가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전북의 상황을 2차례에 걸쳐 조명한다.
올해 전북 경제의 침체는 자영업 비중이 높은 지역 특성상 더욱 두드러졌다.
한국은행 전북본부에 따르면 도내 소상공인 폐업률은 전국 평균을 웃돌았으며 음식점, 도소매업, 숙박업 등 서민 경제의 근간이 되는 업종에서 피해가 집중됐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폐업한 도내 일반음식점은 2043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1742개)과 비교해 301개(17.3%) 증가했다. 휴게음식점은 전년 동기 994개에서 1225개로 231개(23.2%) 늘었다.
물가 상승도 서민들의 삶을 옥죄었다. 통계청 물가동향 통계를 보면 2024년 11월 기준 전북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4.54로 전년 대비 1.6% 상승했다. 식료품, 생활용품, 공공요금도 줄줄이 인상되면서 서민 가계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전북지역의 일자리도 여전히 영세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전국 사업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 사업체는 24만 개로 전년 대비 7000여 개(3%) 증가했으며, 종사자는 79만 9000여 명으로 0.4% 늘었다. 그러나 전북지역 사업체가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8%였지만 종사자 수 비중은 3.2%에 머물러 대체로 사업체 규모가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 시장 역시 위기를 피해가지 못했다. 대출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많은 서민들이 상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주택 경매 건수가 급증했다. 법원 경매 정보에 따르면, 올해 전북지역 주택 경매 건수는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도내 경제계 전문가들은 서민금융 지원책 마련이 가장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전북은 대기업 의존도가 낮고 자영업 비중이 높아 중앙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이 더욱 큰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대출 규제 완화뿐만 아니라 자영업자 대상 긴급 운영자금 지원, 소상공인 재기 지원 프로그램 확대,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저금리 대출 활성화 등의 다각적인 금융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주상공회의소 김기태 회장은“현행 대출 규제는 수도권 중심으로 설계돼 지역 경제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역 맞춤형 대출 규제 완화와 저금리 정책, 긴급 자금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