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승식 도의원 "정부 일방적인 벼 재배면적 감축 즉각 철회해야"

정부, 올해부터 벼 재배면적 8만㏊ 감축 목표, 전북은 1만 2000㏊ 감축
"농민 기본권 침해, 식량주권 확보 위해 적정 수준 벼 재배면적 확보해야"

임승식 도의원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임승식 의원(정읍1·더불어민주당)이 정부의 근시안적이고 일방적인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쌀 수급 조절을 위해 올해부터 벼 재배면적 8만㏊를 감축하기로 하고 각 시도별 쌀 생산량 기준 배분면적을 통보했다.

정부 방침에 따라 전북자치도는 전체 벼 재배면적(10만 4348㏊)의 15.2%에 해당하는 1만 2163㏊를 전략작물·경관작물 등 타 작물로 전환하거나 친환경인증 전환, 휴경 등으로 감축해야 한다.

더욱이 정부는 미이행 농가에 대해 공공비축미 배정을 제외하고 목표 미달성 시·도는 공공비축 배정물량을 감축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임 의원은 “이러한 정부의 방침은 농민들의 영농권 침해는 물론이고 경작 자율권과 작물 선택권 등 기본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가 목표로 하는 8만㏊에서 생산되는 쌀의 양은 40만여 톤으로 정부가 매년 수입하는 밥쌀용 쌀 40만8000 톤과 비슷한 수준이다”며 “쌀을 수입하면서 오히려 쌀 과잉공급의 원인을 농민들 탓을 하고 있으며 수입용 쌀을 그대로 두고 재배면적만 감축해서는 쌀 수급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임 의원은 “국내 벼 재배면적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데 2014년 81만5506㏊에서 지난해 69만 7714㏊로 11년 동안 매년 평균 1만700㏊이상 감소하고 있다”며 “정부는 근시안적으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실시할 게 아니라, 최소한 식량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벼 재배면적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면서 배 재배면적 조정제를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