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울의 대표 스포츠로 떠오른 빙벽등반이 완주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해당 지역은 공식적으로 허가된 장소가 아니며,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상황이다.
실제로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다수의 대형 빙벽등반 사고는 빙벽장의 임시 폐쇄와 함께 동호인들의 활동 위축을 초래했다. 이처럼 안전 문제가 대두되며 빙벽등반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완주의 빙벽장 역시 이러한 사고에서 자유롭다고 할 수 없다. 이 빙벽장은 사설 업체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 시 모든 책임은 이용자가 지게 된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작성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역 주민 김 모 씨는 “사고가 나기 전까지는 관리에 소홀하기 쉬운 것이 현실”이라며 “완주군이 나서서 관광 명소로 개발하고 안전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클라이밍 센터와 인공 암벽장 등은 현재 체육시설법에 따른 ‘안전관리 취약시설 고시’에 포함되지 않아 법적으로 강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지역사회와 체육 업계가 협력하여 관심을 가지고 시설 점검과 안전 장비 마련 등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한다면, 완주군을 안전한 레저 관광지로 발전시키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부주의가 아닌 철저한 준비로 사고를 예방하고, 건강한 겨울 스포츠 문화를 만드는 데 주력해야 할 시점이다. 조현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