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학교자율시간’ 올해 첫 시행

전북교육청은 5일 본청 2층 강당에서 학교자율시간 첫 시행을 앞두고 강사단 역량 강화 연수를 위한 협의회를 진행했다. /전북교육청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서거석)이 올해 처음 시행되는 ‘학교자율시간’ 활성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전북교육청은 5일 올해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학교자율시간을 위해 다양한 자료를 보급하고 역량 있는 강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학교자율시간은 지역과 학교의 여건 및 학생의 필요에 따라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일부 시수(3~4학년 운영 시 29시간 이상, 5~6학년 운영 시 32시간 이상)를 확보해 국가 교육과정(교육부 고시)에 제시된 교과 이외에 새로운 과목이나 활동을 운영하는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시간이다.

학교별로 3~4학년 올해부터, 5~6학년은 내년부터 시행된다.

도교육청은 학교자율시간 현장 지원자료 ‘학교자율시간 전문가 되기 매뉴얼’과 ‘학교자율시간 활동 모음(12개 주제, 각 15~16차시)’을 제작해 2월 중 도내 초등학교에 보급할 예정이다.

전북교육청은 이와 함께 역량 있는 강사단도 구성해 교육지원청별 학교자율시간 운영 지원 연수에 나선다. 

이날 본청 2층 강당에서 강사단 역량 강화 연수 및 협의회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깊이 있는 내용과 강의 방법을 익힌 강사들은 14개 교육지원청에서 현장 교사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연수를 지원하게 된다. 

서거석 교육감은 “학교자율시간 자료 보급 및 강사 지원을 통해 현장 교사들의 학교자율시간 운영 전문성이 신장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학급과 학교, 더 나아가 지역 및 전북만의 특색 있는 교육과정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