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청년 만원주택’, 청년 정착 마중물 되길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분야는 단연 인구정책이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출까지 겹쳐 도시가 활력을 잃고 있다. 특히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층이 대거 빠져나가면서 위기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전주시도 마찬가지다. 소폭이나마 증가세를 유지하던 전주시 인구는 수년 전 감소세로 돌아선 후 하향 곡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청년인구 감소세는 더 가파르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전주시 청년인구는 2015년에서 2020년까지 3485명이 감소한 데 이어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1만 776명이나 줄었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청년이 머무르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청년정책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조직개편을 통해 청년정책 컨트롤타워인 청년정책본부를 신설하겠다고도 했다.

전주시가 이 같은 청년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6일 ‘청년 만원주택, 청춘별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지역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주택 미혼 청년(19∼39세)들에게 보증금 50만원, 한 달 임대료 1만원∼3만원에 매입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올해 우선 82호를 공급하고, 2028년까지 모두 210호로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예산은 총 250억원 가량이 투입된다. 임대주택을 매입, 신축, 리모델링하는 비용이다. 공개모집 절차를 통해 이 주택에 입주하는 청년들은 말 그대로 ‘한끼 밥값’에 월세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대학생과 자립을 준비하는 사회 초년생들이 크게 반기고 있는 만큼 치열한 입주 경쟁이 예상된다.

지역사회 청년 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그들이 지역에서 꿈을 키우고, 그 꿈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 청년 지원 정책은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근간이다. 그리고 청년정책의 핵심은 일자리와 주거안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주시가 내놓은 ‘청년 만원주택’ 사업에 눈길이 쏠린다. 전주시의 살림살이가 더 빠듯해져 여유가 없겠지만 도시의 미래를 위해 우선순위로 추진하고 또 확대해야 한다. 전주시가 올해 청년 지원 정책으로 야심차게 추진하는 ‘청년 만원주택’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