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통합·새만금특자체, 국회의원이 나서라

전북은 지금 사면초가다. 인구가 급감하고 경제력이 바닥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내부 갈등이 격화돼 추스르기 어려울 정도다. 이대로 가다간 ‘전북’이라는 광역지자체가 해체 수순을 밟을지 모른다. 이를 어찌할 것인가. 방관만 하고 있을 것인가. 해법은 지역구 국회의원이 나서야 한다. 지역위원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도민의 대표로서 이 문제를 숙의하고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 선거에 당선되기 위한 정치꾼에서 벗어나 달라는 것이다. 

현재 전북 내부의 가장 큰 현안은 새만금특별지자체 결성과 완주·전주 통합 문제다. 이들 두 현안은 전북이라는 공동체가 소멸하지 않고 성장동력의 모멘텀을 만들 수 있는 묵은 과제들이다. 먼저 새만금특별지자체는 간척지 새만금과 인근 군산·김제·부안을 하나로 묶어 규모의 경제와 지역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다. 그런데 첨예한 관할권 다툼으로 한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10년 넘게 다퉈온 관할권 문제는 방조제부터 매립지, 방수제, 도로에 이어 신항만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3개 시군은 행정력 낭비와 지역간 갈등, 엄청난 변호사 비용 등을 치르고 있다. 나아가 정부가 각종사업과 예산 등을 주지 않는 빌미가 되고 있다.

1997년 이래 세 번 좌절됐던 완주·전주 통합은 역사와 생활권이 같고 소멸 위기에 처한 전북에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기 위해 필요하다. 통합시가 앵커도시의 역할을 통해 전북의 구심점으로 거듭나야 전북의 살 길이 보이기 때문이다. 완주·전주 통합은 지난해 7월 정부에 서명부를 접수함으로써 주민투표가 예정돼 있다. 이와 관련해 지방시대위원회는 지난 10일 완주군을 방문해 찬반단체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들 두 현안은 시군단체장과 지방의회가 발목을 잡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반대는 이해못할 바 아니다. 비록 소지역 이기주의이지만 자신의 임무에 충실해서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달라야 한다. 지역구의 이익과 함께 전북, 나아가 국가 전체를 봐야 하는 자리가 아닌가. 통합 창원시와 청주시는 물론 충청권과 대구·경북, 부산·경남 등이 통합을 통해 소멸 위기를 벗고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움직임을 보라. 신영대·이원택 의원과 정동영·이성윤·김윤덕·안호영 의원은 대승적 차원에서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전북이 이대로 쪼그라들 것인가 아니면 다시 한번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것인가를 논의해 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