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의 2024년 경제는 산업생산 감소와 고용시장 불안정, 청년층 중심의 지속적 인구 유출이 겹치며 지역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심화됐다.
호남지방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호남권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전북 광공업생산은 전년대비 1.1% 감소했다. 4분기에 자동차(5.4%)와 식료품(3.7%) 부문의 일시적 반등이 있었으나, 연간으로는 제조업 전반의 위축세가 뚜렷했다.
서비스업생산도 전년대비 1.0% 감소했다. 운수·창고(12.6%)와 전문·과학·기술(5.5%) 분야는 증가했으나, 교육(-3.0%)과 금융·보험(-2.8%) 부문의 침체로 전반적인 위축세를 나타냈다.
소매판매액은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3.7%)과 대형마트(-6.8%)의 실적 부진으로 전년대비 4.1% 감소했다. 건설경기 역시 급격히 냉각되어 건설수주액이 전년대비 31.2% 급감했으며, 토목공사(-18.5%)와 민간부문(-8.9%)에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수출 부문에서는 기타 일반기계류와 화물차 등 주력 품목의 부진으로 9.7% 감소했다.
소비자물가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2.3%), 음식 및 숙박(3.9%) 등을 중심으로 2.3% 상승했다. 특히 외식물가가 3.9% 상승하며 서민 가계에 부담을 가중시켰다.
실업률은 연평균 2.5%를 기록했다. 4분기에는 3.4%까지 상승해 전년동기대비 0.9%p 높아졌다. 연령별로는 15~29세 청년층의 실업률이 8.6%로 심각했다. 고용률은 4∼50대를 중심으로 전년대비 0.5%p 올랐다.
지난해 연간 총 6060명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문제는 20대(-6908명)와 10대(-873명), 30대(-662명)를 중심으로 한 젊은 인구의 대규모 유출이다.
시군별로는 전주시가 -5745명, 군산시 -568명, 익산시 -558명 등의 순이었다. 반면 완주군은 1826명의 순유입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인구 유입을 보였다.
남원시(-405명), 정읍시(-421명) 등 도내 중소도시와 부안군(-454명), 장수군(-79명), 고창군(-71명), 임실군(-42명) 등 농촌지역 모두 전반적인 지역에서 인구 유출 추세가 지속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