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 중소기업들이 인력·자금 부족과 기술적 한계로 탄소중립 이행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제조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92.8%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응답기업 중 50.2%는 '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 42.6%는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기업조차 86.0%가 기한 내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탄소중립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는 △탄소중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51.2%) △자금·인력 부족(31.2%)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23.2%)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84.8%는 탄소중립으로 인한 추가 비용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탄소중립 이행에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50.4%) △에너지효율 향상기기 도입지원(26.2%) △중소기업 차등 전기요금제 마련(22.6%) 등이 꼽혔다.
양찬희 중기중 혁신성장본부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확대됐으나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의 보조율 상향 등 직접지원을 확대하고, 민간차원에서도 대·중기 상생을 통한 공급망 전반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