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기후변화와 고령화로 침체된 친환경농업 활성화를 위해 올해 34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한다.
27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친환경농업활성화 예산에 347억 원을 투입하고 생산기반 확대, 유통·소비 활성화, 농업환경 보전 등 3대 추진 과제를 중심으로 24개 세부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도는 우선 친환경농업 생산기반 강화를 위해 8개 사업에 94억 원을 투자한다. 먼저 신규 농업인을 유입하기 위한 ‘친환경 희망농부 육성 지원사업’이 운영되고 친환경농업인 대회를 통해 재배기술 공유 및 네트워크 구축이 지원된다.
또 도는 친환경농업 집적지구 1곳을 조성해 하우스와 저온저장고, 선별기 등 생산·유통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유통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도 확대된다. 도는 공공급식 및 로컬푸드 직매장 등에 공급되는 농산물의 안전성 검사비와 물류비를 지원하고, GAP(농산물우수관리) 인증 비용도 보조하는 등 10개 사업에 186억 원을 투입한다. 학교급식 지원을 확대해 친환경농산물 소비를 늘리고,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도 확대해 건강한 식생활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도는 제주도 학교급식에 공급하는 전북 친환경쌀의 공급업체가 지속 선정될 수 있도록 평가 대응을 강화해 지역 농가의 판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현재 순창 태이친환경영농조합과 고창 한결영농조합이 2026년까지 2년간 제주도 학교급식에 838t을 공급하고 있다.
농업환경 보전과 저탄소농업 확산에도 67억 원이 투입된다. 농업의 공익적 기능 강화를 위해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친환경농업 자재 지원 및 농업인의 저탄소 영농활동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확대한다. 올해는 벼 재배 논 2829ha에 19억 원을 투입해 논물관리, 바이오차 투입 등 저탄소 농법을 확산할 계획이다.
최재용 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올해 친환경농업을 다시 성장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칠 것”이라며 “생산부터 유통, 환경 보전까지 전반적인 친환경농업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