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지구적 과제인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목표량 달성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성과는 2050년 목표의 3.2%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관련사업과 예산을 대폭 확대했으면 한다. 또한 온실가스 감축·배출사업 이외에 혼합사업과 복합영향사업 등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나아가 전주시뿐 아니라 다른 시군들도 온실가스 감축에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전주시정연구원은 지난 27일 '전주시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현황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는 탄소중립기본법 제24조에 따라 예산과 기금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지방자체단체의 재정 운용에 반영하는 제도다. 환경부는 지방재정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 적용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전주시 등 시범사업 대상 지자체를 선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전주시 온실가스 감축사업은 전체 3052개 가운데 4.6%인 140개로 나타났다. 예산은 전체의 10.5%인 2432억 원이며 이 가운데 2375억 원이 실제 집행됐다. 이에 따른 실제 온실가스 감축량은 15.2 MtCO2eq(이산화탄소 환산 메가톤)로 산정됐다. 2024년 온실가스 감축사업은 전체 3148개 가운데 6.7%인 210개였다. 예산은 전체의 8.7%인 2423억 원으로 집계됐다. 실제 온실가스 감축량은 33.2 MtCO2eq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전주시는 수송, 수소, 농축수산, 교육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크게 미흡하다. 전주시의 2050년 탄소중립 감축 목표가 연간 750.5 MtCO2eq로 현재 목표 대비 3.2%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세계는 지금 기후위기라는 인류 공동의 난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97년 교토의정서와 2015년 파리협정 채택을 통해 지구의 기온 상승 억제를 논의해 왔다. 최근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자 147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탄소 무역장벽화, 기업들의 ESG경영 확산 등 전방위적으로 대응에 나섰다. 반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과 함께 파리협정을 탈퇴했다. 기후위기는 온난화를 넘어 열대화로 가는 중대한 문제다. 전주시는 특히 여름마다 폭염과 열섬현상으로 곤욕을 치른다. 국가는 물론 지자체와 주민 모두가 노력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