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 첫날 새 교실로 들어선 어린이가 있다. 선생님과 친구들이 새로워 두리번거리며 교실을 둘러봤다. 어엿한 2학년이 되었으니 실수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교실과 복도를 머릿속에 그리며 화장실도 가지 않고 기억했는데 점심 먹고 돌아오는 길에 1학년 교실로 돌아갔다. 어린이는 ‘아차, 나 2학년이지!’ 화들짝 놀란다.
“두리번두리번 새 교실/선생님과 친구들도 새롭다//이제 나는 2학년/실수하면 안 되지//교실과 복도를 머릿속에 그리며/화장실도 안 가고 기억했는데//급식 먹고 오다가/나도 모르게 들어갔다/1학년 교실로 쏘옥//아차, 나 2학년이지!”
송경자 시인의 동시 ‘개학 첫날’의 전문이다. 사실 개학 첫날에는 고학년 어린이나 청소년도 교실을 곧잘 헷갈리곤 한다.
시인은 주인공 어린이의 서툴지만, 순수한 마음을 아기자기하게 그려냈다. ‘이제 나는 2학년, 실수하면 안 되지’란 다짐에 흐뭇함을 느끼며 어린 시절을 떠올릴 어른 독자들도 많을 듯하다.
송경자 동시집 <바람 타는 우산>(책고래)에는 자연과 계절, 학교생활과 가정생활 등을 창의적인 생각과 참신한 비유로 엮은 55편의 동시가 독자들을 동심의 세계로 안내한다.
“분홍 벚꽃잎이/봄바람에 흩날린다//하늘하늘 날리는 꽃잎 잡으러/폴짝폴짝 휙휙//손바닥에 살포시 앉은/작은 꽃잎 하나//내 소원 담아 훨훨 날아간다”(‘나비가 되어’ 전문)
나비처럼 귀엽고 예쁜 동시 ‘나비가 되어’는 벚꽃잎을 잡으러 폴짝폴짝 뛰는 모습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표현했다.
벚꽃잎이 흩날리는 봄의 정경이 눈에 선하게 떠오르면서 피식 웃음이 나거나 마음이 따뜻해지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준관 시인은 서평에서 “송경자 시인의 동시는 어린이들에게 행복을 나누어 주는 시”라며 “동시들이 따스하고 온유하고 포근해서 그의 동시를 읽으면 행복하다”고 했다.
저자는 아동복지 교사로 아이들과 꾸준히 만나고 있다. 그동안 동시집 <똥방귀도 좋대>(공저) 그림책 <마술떡>, 수필집 <좋은 하루 되세요>(공저) 등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