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혁신 산업 성장을 위해 특화 산업 육성에 나선 가운데,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을 꾀하고 있다.
규제자유특구는 지역 단위로 신산업과 관련한 규제를 패키지로 완화하는 제도로, 수도권을 제외한 타지역에서는 지역전략 산업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자유특구를 지정하고 해당 지구에서는 신기술을 적용한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19일 기존 규제 자유특구 사업외에 추가로 그린바이오산업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사업비 166억원, 전주·익산·순창) 지정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는 지난해 9월 후보 특구로 선정된 이후 식품기업 수요를 바탕으로 미등재 기능성원료의 일반식품 적용과 건강기능식품 공장 운영 실증계획 수립 중이다.
도는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부처와 협의를 거쳐 오는 4월 중에 있을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최종 지정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현재 전북지역에서는 지난 2019년 12월 ‘친환경자동차’(사업비 251억원, 군산국가산단) 사업과 2020년 8월 탄소융복합(사업비 306억원, 전주·군산·완주)사업이 규제자유특구로 연이어 지정돼 올해 실증 사업에 착수했다.
‘친환경자동차 규제자유특구’는 △LNG 중대형 상용차 △거점형 이동식 LNG 충전소 제작 △초소형 전기특수자동차 등 3개 실증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안전성을 입증하고 관련 규제법령을 개정했다.
또한 전북 외 기업 3곳을 유치하는 등 587억원 상당의 투자유치 성과를 거뒀으며 47건의 특허 출원·등록을 완료했다.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는 탄소복합재를 활용한 △소형선박 제조 및 운항 실증 △수소 운송용 용기 제작 △소방차 물탱크 개발 등을 추진했고 2023년 4월 ‘탈부착 수소용기모듈 시스템’ 실증이 추가 개발에 들어갔다.
수소용기모듈시스템은 고소차(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특장차) 등에 배터리 대신 수소용기모듈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업계에서는 엔진이 멈춘 상태에서도 기존 배터리 대비 3배 이상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신원식 전북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규제자유특구의 지정과 운영을 통해 지역 경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