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와 김제시, 부안군 3곳을 아우르는 새만금특별지방자치단체(이하 특자체)가 출범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특자체 출범을 위한 합동추진단 협약식이 김제시의 갑작스러운 불참 선언으로 무산됐기 때문인데, 김제시와 김제시의회 등은 전날인 18일 전북자치도가 군산시의 ‘원포트(One-Port)’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태도를 보이면서 신뢰가 깨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19일 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도청에서 예정됐던 특자체 합동추진단 출범 협약식은 행사 전날 오후 늦게 김제시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잠정 연기됐다.
특자체는 새만금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3개 시·군이 공동으로 행정을 운영하는 협력 기구다. 그러나 출범 첫 단계부터 지역 간 갈등이 불거지면서 향후 추진 과정이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김제시는 협약식 불참의 원인을 김 지사의 발언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 지사가 새만금 신항 운영 방식을 ‘원포트’로 결정한다는 전문가 자문회의 결과를 인용하는 듯한 입장을 보이면서 논란이 촉발됐다는 것이다.
김제시는 이를 도가 군산시와 사전 합의를 했다는 신호로 받아들였고 협약식 이후 이를 공식 발표하려 했다면서 강하게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도가 사전 협의 없이 신항 운영 방식을 군산과 조율하고 이를 협약식 이후 해양수산부에 제출하려 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다"며 "도가 해수부 결정 전에 새만금 신항을 군산항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히면 향후 신항 관할권 문제에서 김제시가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새만금 신항 운영 방식은 해수부와 해당 지자체들이 협의할 사안이지, 도가 개입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그러자 도는 즉각 해명에 나섰다. 김지사는 그런 발언을 한적이 없고, 도는 오는 26일 해양수산부에서 열리는 실무협의회에서 신항 운영 방식과 관련한 각 지자체의 의견을 듣고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었으며 신항 운영 방식과 새만금특자체 협약식은 별개의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도는 해수부가 요구한 절차에 따라 전문가 자문위원회에서 도출된 의견을 공식적으로 전달하려 했을 뿐”이라며 “신항 운영 문제를 특정 시군에 유리한 방향으로 추진하려 한 것이 절대 아니다. 추진단 발족은 지자체간 협의를 거쳐 다시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제시의 주장대로 김 지사가 신항만 관련 발언을 했다면 이는 부적절했다는 말도 나온다. 아무리 신항만과 관련한 해수부의 공식 발표 전 지자체 간 갈등의 소지가 될 문제를 지사가 거론한 게 오해를 촉발시켰다는 것이다.
이번 사태로 김 지사는 군산에 이어 김제에서도 신항만 관할권과 관련해 비판을 받는 입장이 됐다. 정치권에선 이를 두고 특자체 구성을 둘러싼 지자체간 기싸움에 김 지사가 샌드위치 신세가 된 것이란 시각도 있다.
전북도, 군산시, 김제시 등 세 지자체 간 갈등의 도화선이 된 것은 군산시가 기존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을 하나로 묶어 운영하는 원포트 방식을 주장하는 반면 김제시는 새만금 신항을 별도로 운영하는 ‘투포트(Two-Port)’ 방식을 요구하면서 부터다. 신항 운영 방식이 최종 결정될 경우, 향후 해양 물류 사업과 투자 유치에서 각 지자체의 유불리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