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고창 김치특화산업지구 육성 속도낸다

AI, 로봇 활용한 스마트 농업 접목...고창을 김치산업 핵심 거점으로
1차 원료 생산 산업서 부가가치 창출 가능한 6차 산업으로 전환

19일 고창군 농업기술센터에서 고창 사시사철김치특화산업지구 육성 및 김치산업 활성화를 위한 현장 토론회가 개최됐다./사진=전북자치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고창군을 김치산업의 거점으로 삼기 위한 ‘고창 사시사철김치특화산업지구’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전북자치도는 19일 고창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도, 농업기술원, 고창군, 고창식품연구원, 지역 배추 농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 토론회를 열고 김치산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고창 사시사철김치특화산업지구는 지난해 9월 농생명산업지구 선도지역으로 선정된 7개소 중 하나로, 스마트 정밀농업 도입, 저장 기술 고도화, 절임배추·양념 생산시설 구축 등을 통해 고창을 전국적인 김치산업 거점으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날 주요 논의 내용으로는 고창군 내 생산 기반 확대 및 농가 조직화와 AI·로봇을 활용한 작황 예측 매뉴얼 구축, 김치 원료 저장기간 연장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됐다. 김치 원료 수급 안정화를 위해 고창군 내 봄배추 재배 확대와 함께 진안군 등 도내 동부권 준고랭지 배추, 부안·정읍 지역과의 협력체계 구축 방안도 집중 논의됐다.

앞서 도는 지난 1월 대상(주)과의 업무협약 이후 고창군과 생산·수확·보관 등 전 과정에서 기술이전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지구 지정 고시를 목표로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최재용 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지역 농산물을 활용해 전국을 대표하는 김치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1차 원료 생산에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6차 산업으로 전환해 고창이 김치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