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만원주택 1322명 몰려⋯52대 1 경쟁률 기록

청춘별채 25명 모집 공고, 높은 관심
4월 최종 발표⋯하반기도 12호 모집

전주시 청년만원주택 청춘별채 사업지인 효자동의 한 다가구주택. 조현욱 기자

전주시 청년 만원주택 입주자 모집에 수천 명이 몰리면서 5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년의 주거 안정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전주시가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청년 만원주택 '청춘별채' 입주자를 모집한 결과 25명 모집에 1322명이 신청해 52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전주시는 서류 및 자격 검토를 거쳐 다음 달 최종 입주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청년 만원주택 사업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주택 미혼 청년(19∼39세)에게 한 달 임대료 1만∼3만 원에 매입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내용이다. 보증금은 50만 원이다.

그동안 전주시는 무주택 미혼 청년에게 시세 40% 수준으로 매입임대주택을 공급해왔다. 이들은 원룸·투룸·쓰리룸 등 주택 형태에 따라 월세 9만∼28만 원을 부담해왔다. 이번 청년 만원주택을 통해 매입임대주택 월세가 1만∼3만 원으로 대폭 인하되며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은 더 줄어들 전망이다.

전주시는 이 같은 청년 만원주택을 2028년까지 모두 210호로 늘릴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82호(상반기 70호, 하반기 12호)를 시작으로 2026년 59호, 2027년 36호, 2028년 33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청년 만원주택 입주 대상은 전주에 살거나 살기를 희망하는 19∼39세 무주택 미혼 청년으로, 공공주택 입주자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1순위는 기초생활수급자와 한부모가족, 차상위 가족이다. 2순위는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자이다. 3순위는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자이다.

입주 기간은 2년이다. 무주택 요건 충족 시 최대 4회까지 재계약이 가능하다. 또 입주 중 결혼하면 최대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청년 만원주택 입주자 모집이 뜨거운 경쟁률을 보이며 마감됐다"며 "하반기에는 리모델링을 마친 매입임대주택 12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기존 매입임대주택 중도 퇴거자가 발생하면 입주 물량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