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중소기업 88%, ESG 경영 '모른다'...생존 지원 시급

수출 기업과 금융권 등 대내외적으로 필수 전략으로 꼽혀
전북상협, 도내 기업 ESG 도입 21.9%로 중소기업은 불과 11.3%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이유로 경영진 및 필요성 미인식 등도
교육·컨설팅 비용 지원, 세제지원 혜택 강화 등 정책 지원 필요

전북 지역 기업들이 ESG 경영을 도입하지 않은 이유/사진제공=전주상의

ESG 경영이 글로벌 비즈니스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전북 지역 기업들의 대응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낮은 도입률이 두드러져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회장 김정태)가 도내 288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ESG 경영실태 및 대응과제 조사' 결과, 도내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도입률이 21.9%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체의 38.5%가 ESG 경영을 도입한 반면, 건설업(8.7%)과 유통업(11.5%)은 상대적으로 낮은 도입률을 보였다. 규모별로는 중견기업과 대기업의 87.5%가 ESG 경영을 도입한 데 비해 중소기업은 11.3%에 불과했다. 이는 대기업에 비해 자금력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현실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기업들이 ESG 경영을 도입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비용 부담(23.4%)이 가장 높았다. 이해관계자 요구 부재(21.5%), 경영진 인식 부족(18.8%), ESG 개념 생소(18.5%), 경영상 필요성 미인식(17.8%) 순으로 조사됐다.

ESG 경영 도입은 단순한 선택이 아닌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지적되고 있다.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2026년)과 대기업들의 협력사 선정 기준 강화, 투자자들의 ESG 미충족 기업 투자 기피 등을 고려할 때 ESG 경영 도입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에 참여하는 수출기업의 경우, ES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해외 바이어로부터 거래 중단이라는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금융권에서도 ESG 성과가 우수한 기업에 대한 우대금리 적용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있어, ESG 경영은 자금 조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전망이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교육·컨설팅 비용 지원(22.9%), 세제지원 혜택 강화(21.8%), 업종별 가이드라인 제공(20.1%), 인프라·시스템 비용 지원(19.9%), 전담 지원기관 설립(15.3%)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김정태 회장은 "앞으로 ESG 경영은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직결되는 사항인 만큼 기업의 인식 제고와 더불어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주상공회의소는 '전북 공급망 ESG 지원센터'를 통해 기업의 ESG 진단 및 컨설팅, 교육과 설명회 등 지역 기업의 ESG 경영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ESG 관련 문의는 063-280-1153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