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와 전남, 광주광역시가 호남권 공동발전을 위한 '경제동맹' 강화에 나섰다. 김관영 지사와 김영록 지사, 강기정 시장이 23일 나주에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지난해 7월, 7년만에 재개된 호남권정책협의회의 후속조치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이들 3개 시도는 그동안 협력보다는 경쟁으로 각자도생의 길을 걸어왔다. 결국 전북이 호남권에서 이탈해 특별자치도로 독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3개 시도는 오랫동안 역사적으로 행정구역을 같이했고 정치 경제적으로 한 배를 탔었다. 이제 협약체결을 계기로 오해와 갈등을 벗어 던졌으면 한다. 갈수록 옥죄어 오는 수도권 일극체제와 메가시티 바람에 공동 대응해 협력과 상생발전을 모색하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
이번 업무협약의 핵심은 연합 추진체계를 기반으로 한 공동 대응이다. 국제행사 유치와 첨단산업 및 건설 SOC 등에 대해 세부적인 협력방안을 마련하고 경제동맹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한 연합추진단을 운영키로 했다. 국제행사로는 2025 광주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성공 개최와 2036 하계올림픽(전북 전주), 제33차 UN기후협약당사국총회(전남 여수) 유치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경제 분야는 농협중앙회 호남 이전을 비롯해 AI 미래산업 기반 조성, 청정에너지 기반 첨단산업, 에너지원 공동 R&D 사업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흥-광주-완주-세종을 잇는 '호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 새만금-고창-영광-함평-목포로 이어지는 '서해안 철도', ‘광주 신산업선’ 구축 등 대형 프로젝트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사실 호남권은 1990년대 이후 개발사업 등을 둘러싸고 이해관계가 엇갈린 경우가 많았다. 전북의 새만금 개발과 신공항 건설 등에 광주 전남에서 잇달아 발목을 잡는가 하면 각종 인사와 국가예산 등에 있어 호남몫을 광주·전남이 차지하곤 했다. 이에 따라 전북은 소외감이 깊었고 3중 차별을 받고 있다고 느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는 수도권 일극체제에 맞서야 하고 대구·경북, 부울경, 충청권 등의 경제 블록화에 살아 남기 위해서도 호남권 협력은 절실해졌다. 구호에 그칠 게 아니라 새로운 미래를 위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게 좀더 구체적으로 다가갔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