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길고양이와 환경을 위한 플리마켓, 따뜻한 나눔 실천하는 허지현 제비마트 대표

업사이클링 플리마켓 열어 수익금 일부 길고양이 보호 위해 기부
"거창한 목표보다 일상 속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으로 큰 변화 만들고 파"

허지현 씨

길거리를 걷다 보면 종종 마주치는 길고양이들. 누군가는 스쳐 지나가지만, 누군가는 그들의 삶을 조금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기 위해 손을 내민다. 지역에서 꾸준히 열리고 있는 한 플리마켓이 바로 그런 따뜻한 움직임의 중심에 있다. 단순한 벼룩시장을 넘어, 수익금을 길고양이 보호를 위해 기부하고 재활용까지 실천하는 특별한 플리마켓 ‘서학 썬데이 마캣’을 열고 있는 제비마트 허지현(43·고창)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서학 썬데이 마캣’은 벌써 네 번째를 맞이했다. 처음에는 소소한 나눔에서 출발했지만, 점차 지역 사회의 관심을 받으며 규모도 커지고 의미도 깊어졌다. 허 대표는 길고양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길에서 자생하는 고양이들을 보면서 늘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보호소에 갈 수도 없고, 사람들이 외면하면 그저 힘겹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들에게 작은 힘이라도 보태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플리마켓의 수익금은 전액 길고양이 보호 활동에 쓰인다. 유기묘의 치료비, 사료 지원, 중성화 수술(TNR)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부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내 길고양이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 이 플리마켓이 단순히 기부만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중요한 가치는 바로 재활용과 친환경적인 소비 문화다.

허 대표는 "우리가 버리는 물건들이 다시 누군가에게는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며 플리마켓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상당수가 업사이클링 상품이거나 중고 제품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처음에는 뜻이 같은 친한 동료들과 단순히 쓰지 않는 물건을 나누는 수준이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플리마켓의 의미를 더 확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재활용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일회용 포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운영하고 있다."

플리마켓이 지속될수록 길고양이에 부정적인 반응이었던 지역 주민들의 반응도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대표는 “서학동에는 저희처럼 고양이를 좋아하는 주민도 있지만, 고양이를 좋아하지 않으신분도 계신다. 하지만 회를 거듭할수록 마켓의 수익금으로 더욱 체계적인 고양이 돌봄이 지속되며, 부정적이었던 시선도 많이 변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의 행보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허 씨는 “지금껏 소규모로 진행됐던 썬데이 마켓에 서학동은 물론 그 주변 상가들도 자연스럽게스며들어 함께 동참할 수 있는 마켓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힘쓸 것”이라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길고양이든, 환경 보호든 거창한 목표를 세우기보다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이 중요하다. 길고양이들에게 물 한 그릇을 내어주거나, 쓰지 않는 물건을 재활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런 작은 행동들이 모이면 결국 더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