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경쟁자에서 동반자로...전북-서울 2036 올림픽 공조 본격화

올림픽 유치경험 공유한 서울시와 실질 협력 논의
문체부·체육회·타 지자체 연대 체계도 강화 방침

27일 최병관 도 행정부지사가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과 올림픽 유치 공조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전북자치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 하계올림픽 유치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시와의 실질적 공조에 나섰다.

전북자치도는 지난 27일 최병관 도 행정부지사가 서울시청에서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과 면담을 갖고 유치 전략 전반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면담은 전북이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선정된 이후 열린 첫 광역 간 실무 협의로 서울시의 2032년 올림픽 유치 국제 경쟁 경험을 공유받기 위한 자리였다. 특히 실질적인 유치전에서의 전략, 정부 부처 대응, IOC와의 접촉 방식 등 구체적인 노하우가 논의됐다.

이날 서울시는 경기장 사용 허가 등 도가 요청하는 사항에 적극 협조할 것을 약속하며 향후 유기적 공조를 예고했다. 특히 IOC가 국내에 자체 여론조사 요원을 파견하는 만큼, 국민적 관심과 지지 기반을 조성하는 활동의 지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도는 이번 면담을 계기로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등 중앙부처와의 협업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대한체육회 및 타 시도와의 연대 전략을 구체화해 나갈 방침이다.

최 부지사는 “대한민국 전체가 함께 나아가야 할 도전이기에 서울과의 협력이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방위 전략을 통해 국제 유치 경쟁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지사는 “단순한 자료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의 시행착오와 실무 경험”이라며, “서울시가 직접 겪은 유치 과정의 전략과 대응법이 전북에는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