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풀이되는 재난, ‘산불 대응체계 대전환’을

소중한 우리 국토가 불에 탔다. 경북 의성과 안동·청송·영양·영덕, 경남 산청·하동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서울 여의도 면적의 166배에 달하는 국토가 잿더미로 변했다. 사상 최악이자 최대 규모의 피해다.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 범위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산림당국이 매일 진화 헬기와 인력, 장비 등을 대거 동원해 주불 진화, 방화선 구축 등에 힘을 쏟았지만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속출했다. 경북 5개 시·군으로 확산한 산불은 발화 149시간여가 지난 후에야 간신히 주불이 잡혔다. 아주 적은 양이지만 애타게 기다린 봄비가 진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지리산 국립공원까지 불길이 넘어간 경남 산청 산불은 진화와 재발화가 계속되면서 진화에  큰 어려움을 겪어야했다.

국가적 재난상황 속에 전북에서도 산불이 이어졌다. 무주의 한 주택에서 발생한 불이 산으로 번지면서 마을 주민들이 긴급 대피해야 했고, 고창에서 난 산불은 강풍을 타고 정읍시로 번져 이재민이 속출했다. 급한 불은 껐지만 이재민 대책과 산림 및 문화재 복구 등 앞으로의 과제가 만만치 않다.

새 생명이 움트는 희망의 계절이면, 매번 산불을 걱정해야 한다. 건조한 날씨에 강풍까지 부는 시기여서 한 번 발생하며 진화가 쉽지 않다. 불에 탄 숲이 복원되려면 적어도 수십 년이 걸리고, 토양이 살아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예방이다. 이런 엄청난 재앙이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그야말로 총력을 쏟아야 한다. 정부와 각 지자체가 해마다 ‘봄철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을 정하고, 특별대책본부까지 운영하면서 행정력을 동원해 화마 예방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도 산불은 끊이지 않고 있다. 게다가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이 대형화‧장기화하면서 피해규모가 크게 늘고 있다.

해마다 이 악몽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 국가 차원에서 보다 근본적인 산불 예방대책과 선진적인 진화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기후변화 영향 등으로 산불이 대형화·장기화하고 있는 만큼 산불 예방체계를 재점검해야 한다. 또 장비와 인력 보강, 수종전환, 임도확장 등을 통한 산불 대응체계 대전환도 필요하다. 아울러 산불의 대부분이 사람의 부주의로 발생한 인재(人災)라는 점에서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는 주민 교육‧홍보 활동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