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의 산불이 경북과 경남 일대를 휩쓸었다. 이로 인해 인명과 산림 손실, 재산 피해, 문화재 손실 등 엄청난 피해가 났다. 이번 산불은 기후 위기로 인해 언제든 대형산불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과 장비와 인력 확충 등 평소 철저한 대비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줬다. 이제 남은 것은 절망에 빠진 이재민들이 슬픔과 고통을 딛고 하루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피해 복구를 돕는 일이다. 또 전국민이 나서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지난달 21일 시작된 산불은 울산, 경북, 경남, 충북, 전북 등 11개 지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났다. 특히 이 산불은 경북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과 경남 산청 일대를 초토화시켰다. 피해 면적이 서울의 약 80%에 해당하는 4만8000ha에 달하고 인명 피해도 사망 30명, 부상 45명에 이르는 사상 최악의 기록을 남겼다. 집 3600여 채가 잿더미가 됐고, 대피 생활을 하는 이재민이 4700여 명이다. 간접피해 인원까지 합하면 4만명에 육박한다. 경제적 손실만 2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천년고찰인 경북 의성의 고운사, 운람사 등도 전소됐다.
가장 급한 것은 피해 복구와 이재민의 거처 마련, 생필품 지원 등이다. 당장 대피소에 머무는 이재민을 위해 모듈러 주택 1600채와 임시조립주택 등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먼저 나서야 하고 민간에서도 자발적으로 도와야 한다. 정부는 재난안전특별교부세 307억원을 경북과 경남에 지원하고 여야는 탄핵 정국 가운데서도 추경 10조원 편성에 합의했다. 또 지자체와 기업, 구호단체의 기부 손길도 이어지고 있다.
전북에서도 지자체와 민간에서 이들과 아픔을 함께 나누기 위해 뜻을 모으고 있다. 전북자치도가 재해구호기금 2억원을 기탁했으며 전북시장군수협의회가 성금 2000만원을 전달했다. 또 안동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전주시가 밥차와 구호물품, 자원봉사자를 현장에 급파했다. 폐지를 팔아 양말 1000컬레를 기부한 민간인도 있다. 기부와 나눔은 어려움으로 실의에 빠진 산불 피해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다시 일어나게 하는 힘을 준다. 반드시 금전적인 도움이 아니어도 좋다. 재난 앞에서 하나된 모습을 보여줬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