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활로 대선공약 반영 여부에 달렸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결정으로 6월 3일 조기 대선이 유력한 가운데 결국 각종 지역 현안사업의 대선 공약화 여부가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새만금 예산삭감으로 대표되는 전북의 차별과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다른 지역과의 균형 여부에 초점을 둬선 안된다. 획기적인 시책이 채택되느냐, 마느냐에 따라 전북의 미래가 좌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지역발전의 요체가 바로 경제 활성화 여부라는 점에서 이번 대선 과정에서 전북은 단순한 정치적 들러리에 그치느냐, 아니면 실질적 발전 해법을 찾느냐 하는 중차대한 기로에 서게됐다. 이번 조기 대선을 지역 경제재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하는 이유는 차고 넘친다. 가뜩이나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이 장기화하는 ‘트리플 고(高)’ 상황에서 요즘 증시폭락 사태에서 알 수 있듯 경제적 불안감은 더욱 고조되는 양상이다. 새정부 출범 이후 정치 환경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엄청난 상황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깊은 고민과 해법제시는 생존이 걸린 문제다. 전북 경제의 자생력을 키우고, 정치 변화에 의존하지 않는 구조 개편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지금과 같은 정치적 격변 기에서는 지역경제 관련 어젠다를 어떻게 설정하고 이를 차기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시키느냐가 최대 관건이다. 무엇보다도  2036 하계올림픽 최종 유치 여부는 전북의 장래를 가를 수 있는 메카톤급 이슈다. 민주당이나 국민의힘 등 주요 정당에서 올림픽 유치를 가장 핵심 과제로 선정해 추진할 경우 전북 핵심 현안은 자연스럽게 국가정책에 반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북도는 지난해말부터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 추진단’을 운영하면서 총 200여건의 사업에 대한 타당성은 물론, 국정 연계성을 검토했다. 이를 토대로 총 9개 분야 74개 사업으로 요약해 7일 발표했다. △2036 하계올림픽 기반 조성 △K-문화올림픽 산업 거점 조성 △신산업 테스트베드 구축 △글로벌 초격차 미래산업 선점 △금융도시 구현 및 산업 인재 육성 △첨단 농생명산업 수도 육성 △새만금 국가성장 전초기지화 △전북 광역 SOC 확충 등이 바로 그것이다. 큰 틀에서 보면 올림픽 유치와 새만금 발전방안 확보가 관건인데, 전북도는 물론, 지역정치권이 모두 힘을 합쳐서 대선 공약화를 통해 전북의 미래먹거리 창출에 주력할 것을 거듭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