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사찰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전통사찰은 대부분 목조 건축물로 이루어져 화재에 취약하다. 더구나 상당수가 산간지역에 위치해 접근성도 떨어진다.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면 전소하는 경우가 많다. 봄철에 어이없는 사고로 소중한 문화유산을 잃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대비가 뒤따랐으면 한다.
화재 피해는 지난달 21일부터 경북과 경남 일대에서 대규모로 일어난 산불이 여실히 보여준다. 이번 산불은 피해 면적이 서울의 약 80%에 해당하는 4만8000ha에 달하고 인명 피해도 사망 31명, 부상 45명에 이르는 사상 최악의 기록을 남겼다. 피해 인원도 4만 명에 육박하며 2조원이 넘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다. 특히 천년고찰인 경북 의성의 고운사와 운람사를 전소시켰다. 1300년된 고운사는 돌풍으로 인해 삽시간에 불길이 덮쳐 보물로 지정된 연수전과 가운루, 그리고 드라마 ‘미스터 션사인’ 촬영지로 유명한 만휴정 원림이 모두 불에 탔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국가지정 국가유산 11건, 시도지정 국가유산 12건 등 23건이 피해를 입었다. 산불이 수백년을 지켜온 문화재를 한줌의 재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전북지역의 경우 지난 5일 남원시 사매면 호성사에서 불이 나 대웅전이 전소됐다. 앞서 지난해 5월 20일에는 완주군 구이면 용광사에서 불이 나 대웅전이 소실됐다. 또 같은 해 4월 13일에는 김제시 망해사에서 불이 나 대웅전이 전소되고 약서전 일부가 불에 타기도 했다. 전북자치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도내 사찰 및 목조 문화유산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9건이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소방서 추산 23억8000만 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부주의가 5건(56%), 전기적 요인 2건(22%), 방화 1건(11%), 원인 미상 1건(11%)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사찰 화재는 단순한 재산 피해를 넘어 되돌릴 수 없는 역사와 문화의 손실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전통 목조건축물은 한번 불에 타면 원형 복원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미연에 막기 위해서는 문화재 주변 방화선 구축과 소방시설 강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정기적인 교육 등이 필수적이다. 철저한 대비로 소중한 목조문화재를 지켰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