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이 지나고 이제 대선의 시간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 레이스에 막이 올랐다.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이 6월 3일로 확정되면서 정치권이 바빠졌다. 각 정당의 대권 주자들이 잇따라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제 치열한 공약 경쟁과 후보 검증 절차가 이어질 것이다.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한 각 정당과 후보 진영의 양보 없는 경쟁이 예고됐다.
예상했던 조기 대선이 현실화하면서 지방자치단체도 급해졌다. 차기 정부 국정과제 선점을 위한 로드맵을 이제 본격 가동해야 한다. 전국 각 지자체가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발굴한 대선 공약과제를 속속 내놓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도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준비해온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지역의 주요 현안을 집약해 각 정당과 대선후보 캠프에 전달할 예정인 이 프로젝트에는 9개 분야 74개 전략사업이 담겼다. △2036 하계올림픽 기반 조성 △K-문화올림픽 산업 거점 조성 △금융도시 구현과 산업인재 육성 △첨단 농생명산업 수도 육성 △새만금 국가성장 전초기지화 △전북 광역 SOC 확충 등이 전북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혔다.
사실 국정과제에 포함되더라도 정부의 의지가 없다면 지역현안은 뒷전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실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재임기간, 대선 공약을 통해 반영된 전북 관련 국정과제의 현주소를 살펴보면 ‘새만금 국제투자진흥지구 지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진척이 없다. 그래도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사업이 차기 정부에서 실현되기 위해서는 대선 공약을 통한 국정과제 반영이 우선이다. 이를 계획대로 추진해 현실화하는 것은 그 다음 단계다. 우선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
그래서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가 유력 후보의 공약에 얼마나 반영될 지 관심이다. 전북특별자치도와 지역 정치권의 역량이 대선 정국에서 다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지자체에서 심혈을 기울여 마련한 전북의 미래 비전이 유력 후보의 대선 공약에 그대로 반영돼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가 되도록 지자체와 지역정치권이 역량을 총결집해야 한다. 아울러 도민들도 전북의 미래 비전에 관심을 갖고 한마음으로 성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