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박 4일 일정의 스위스 출장에서 토마스 바흐 위원장 등 IOC 주요 인사들을 만나고 돌아온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11일 "전북의 올림픽 가능성을 보고 왔다"고 말했다.
이날 전북자치도청 기자실 출장 관련 기자 간담회를 연 김 지사는 “국내 올림픽 후보지 선정에 서울을 꺾은 전북의 저력을 보여주고 올림픽 유치 의사를 IOC에 공식 전달하는 첫 올림픽 해외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스위스 로잔에 위치한 IOC 본부를 방문한 김 지사는 “바흐 위원장과 만남을 갖고 콜린다 그라바르 키타로비치 미래유치위원회 위원장과 공식 면담을 진행하면서 올림픽 유치 전략과 실행 구상을 소개했다”며 전북의 올림픽 유치를 위한 IOC와의 첫 상견례 자리를 설명했다.
도는 ‘지방도시 연대’, ‘친환경 올림픽’, ‘문화 올림픽’을 3대 전략으로 내세우며 전주를 중심으로 한 지방 중심 올림픽 유치를 구상 중이다.
김 지사는 “바흐 위원장과의 만남에서 하계올림픽 유치 후보도시로 선정된 전북 전주를 소개했다”며 “바흐 위원장이 2017년 무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당시 태권도원을 방문했던 인연을 언급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바흐 위원장의 방문을 기념해 조성된 ‘바흐정(亭)’ 현판식 사진이 담긴 사진첩을 전달했으며 바흐 위원장은 당시를 떠올리며 반가움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김 지사는 K-컬처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한국이 올림픽을 개최할 경우 72억 명의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문화올림픽’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란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김 지사는 “IOC가 서울을 이긴 전북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며 “서울만 알았던 IOC 인사들도 전북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번 면담에서 전북은 모든 경기장을 90분 이내에 운영하는 구상을 설명했고 선수촌 역시 연대 도시 내에 분촌 형태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IOC 측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한국의 문화적 역량이 접목된 올림픽 모델에 기대감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향후 도의회 의결, 문화체육관광부 및 기획재정부 승인 등의 절차를 거친 뒤 올해 IOC에 유치의향서(FOI)를 제출할 계획이다.
현재 2개과 5개팀 체제인 도 올림픽유치추진단은 3개과 10개팀으로 확대하고 국제과를 신설해 기능별 대응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올해 1차 추경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 절차 대응을 위한 행정 예산, 국내 붐 조성 및 국제교류 활동 예산 등이 반영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