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충청.전북.전남권역 해상풍력발전사업 뒷받침 군산항이 최적

군산조선해양기술사업협동조합, 기본계획 반영 요청
군장신항만 해상 풍력 전용 부두 기능전환계획안 제출
관련 기업 유치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심 기울여야

'수조 원대 서해안 해상풍력발전사업의 주도권을 잡아라'

군산항에 인천, 충청, 전북, 전남권역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뒷받침할 해상풍력지원 항만구축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군산항 중량물 야적장의 운영 계약을 맺은 군산조선해양기술사업 협동조합이 최근 해상풍력지원항만이 건설될 수 있도록 군산항 기본계획에의 반영을 군산해수청에 요청했다. 

조합측이 요청한 해상풍력 지원항만 건설위치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조립과 야적을 위해 조성된 6만여㎡(1만8000여평규모)의 중량물 야적장과 연접한 75번 선석과 76번 선석 등 부두개발 예정지이다.  

또한 군산항 79번 선석과 79-1번 선석을 운영하고 있는 군장신항만(주)도 최근 잡화부두 2개 선석을 해상풍력 전용부두로 전환하는 계획안을 군산해수청에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장신항만측은 인천∼서남해 인근 해상풍력사업추진이 활발해지고 군산항이 지리적으로 서해안 중간에 있는 이점을 활용,  해상풍력발전사업 지원 거점으로 육성하고자 한다며 계획안 제출 배경을 밝혔다.

이를 위해 이달중 관련 인허가절차를 진행한 후 부두 보강공사를 거쳐 오는 2027년 하반기부터 정식 운영을 개시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또한 물량확보를 통한 안정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인허가 기간 중  발전사업자를 모집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상풍력 지원항만이 구축될 경우 해상풍력기자재의 항만을 통한 반출입이 가능해짐으로써 많은 관련 기업들이 군산지역에 유치되고 해상 풍력 기자재 설치와 유지 관리, 관련 부품 생산 등으로 지역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항만관계자들은 " 2030년까지 8.7GW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전북은 서해안 전체 21GW규모 시장의 핵심축을 형성하고 있어 해상풍력지원항만구축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도내 정치권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충남도는 .보령 신항에  2027년부터 안벽 414m(2개 선석)와 배후부지 30만㎡(약 9만평)을 조성,  국내에서 가장 큰 해상풍력지원항만을 2029년부터 본격 가동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