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시장·군수협의회(협의회장 정헌율 익산시장)가 17일 부안 소노벨 변산에서 민선 8기 3차년도 제3차 정기회의를 열고 진안군이 추진 중인 양수발전소 유치를 지지하는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제2차 회의에서 논의된 건의 사항 회신 결과를 비롯해 전주~김천 간 철도 확충,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 수당 지급 건의 등 지역 현안 12건을 심의·의결하고 이를 전북도 및 중앙부처에 건의키로 했다.
특히 이날 협의회는 전춘성 진안군수가 제안한 양수발전소 유치를 지지하는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는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에너지 인프라 사업에 전북 14개 시·군 단체장이 한목소리로 지지에 나선 것이다.
이번 결의는 지방소멸 위기 대응과 지역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진안 양수발전소가 전북 지역 전체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추진됐다.
이날 전춘성 군수는 제안 설명에서 “진안 양수발전소 유치는 단순한 발전소 건립을 넘어, 전북특별자치도 내에 발전 대기업을 유치하는 효과와 같다”고 전제하고 “7년에 걸친 건설 과정에서 발생할 경제적 파급 효과와 고용 창출로 지역 경제가 살아나고 운영 기간인 50년간 약 1,000억 원의 세수 증가가 예상되는 등 지속적인 경제 효과도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협의회는 “진안 양수발전소 유치는 지역 개발을 넘어 국가균형발전 정책과도 맞닿아 있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 해소, 지방의 자립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진안군은 양수발전소 유치 경쟁에서 △수몰 가구 없음 △경제성 우수 입지 △지역 사회의 강한 유치 의지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전방위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 중이다.
이번 결의를 계기로 범도민 유치운동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정헌율 협의회장은 “진안 양수발전소 유치는 전북의 미래 100년을 좌우할 중대한 사업”이라며 “지방소멸 위기 극복과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해 도내 14개 시·군이 한마음으로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부터 2034년까지 총 1,800MW 규모의 신규 양수발전소 3곳을 순차적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경북 영양군과 봉화군은 각각 1,000MW, 500MW 규모의 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며 경남 합천군과 전남 구례군은 우선 사업자로 선정되어 2035년까지 양수발전소를 준공할 예정이다. 현재 전남 곡성군과 충남 금산군, 경남 거창군 등도 유치 경쟁에 뛰어든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