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받지 못한 청년들...‘자기돌봄비’ 최대 200만 원 지원한다

전북사회서비스원, 가족 돌보는 청소년에게 연 최대 200만 원 지원
장애·질병 가족 간병 중인 만 13~34세 대상…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건강관리·의류·자격취득 등 자기 돌봄 위한 용도 사용 가능

가족돌봄 청(소)년 자기돌봄비 관련 포스터./전북사회서비스원 제공.

가족을 간병하느라 청춘을 내려놓고 정작 자신을 돌볼 겨를이 없던 청년들을 위해 전북사회서비스원이 도움의 손을 내민다.

전북사회서비스원 청년미래센터는 전북에 거주하며 병환 중인 가족을 실질적으로 돌보는 만 13세~34세 이하 청소년·청년을 대상으로 ‘자기돌봄비’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자기돌봄비는가족 돌봄으로 인해 자신의 건강과 미래를 챙기기 어려운 청(소)년이 스스로를 위한 지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의 자립지원금이다.

지난해부터 이 사업의 수혜 대상자로 총 285명이 선정됐으며 최대 200만 원까지 지급된다. 지원금은 건강관리와 의류 구매, 자격 취득, 개인 성장에 필요한 물품 구입 등 자기계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원 대상은 전북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으며 아픈 가족을 전담 돌보는 청소년 또는 청년이다. 가구 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일 경우 신청할 수 있으며, 돌봄 대상은 장애 등록자 및장기 입원 환자, 1년 이내 수술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등이다. 실질적인 간병 상황이 입증돼야 한다.

신청은 청년ON 누리집, 전북가족돌봄팀 또는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가능하다.

이번 사업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청년 간병인’ 문제에 주목해 마련됐다.

지역사회에서는 학업과 취업을 포기한 채 가족 돌봄을 전담해야 하는 청(소)년들이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이에 따라 센터는 자기돌봄비 확대를 통해 이들의 일상 회복은 물론, 심리적 안정과 미래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서양열 원장은 “가족을 돌보느라 정작 자신을 돌보지 못한 청년들이 많다”며 “자기돌봄비가 이들에게 회복의 시간과 자립의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청년미래센터는 자기돌봄비 외에도 가족돌봄 청(소)년을 위한 1:1 사례관리, 자조모임, 원데이클래스, 심리지원 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만 9세부터 39세까지의 가족돌봄 청년을 대상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