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 다하는 전북권역외상센터 되기를

권역외상센터란 쉽게말해 하루 24시간씩 일년 내내 교통사고, 추락 등에 의한 다발성 골절·출혈 등을 동반한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곳이다. 병원에 도착하는 즉시 응급수술이 가능하고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 장비는 물론, 인력까지 다 갖춘 외상전용 치료센터다. 그런데 전북권역외상센터는 가장 중요한 의료인력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있어 센터의 기능 자체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지경이다. 전국 지방소재 권역외상센터가 대동소이한 상황이나 특히 전북권역외상센터의 상황은 전국에서 가장 심각하다. 단순히 걱정만 하고 있을때가 아니다. 중앙정부, 지방정부 할 것없이 당장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어느 곳에 살든 국민으로서 누리는 혜택에 엄청난 차별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제대로 된 국가라고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교통이나 의료환경 등 각종 인프라가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전북의 현 주소는 심각, 그 자체다. 중증외상 환자를 치료할 ‘최종 의료기관’인 전국의 권역외상센터 17곳 중 9곳(53%)은 전문의 수가 10명 미만인 상태다. 그중에서도 압권은 전북권역외상센터인 원광대병원의 상황이다. 복지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17개 권역외상센터 전담전문의 수는 올해 1월 말 기준 188명이었다. 전담전문의가 5명 이하인 곳은 2021년 말 경상국립대병원 1곳에서 올해 1월 말 경상국립대병원, 원광대병원, 목포한국병원 등 3곳으로 늘어났다. 목포한국병원과 원광대병원은 2021년 말 기준 전문의가 9명씩 근무했으나 올 1월 말 기준 각각 5명, 4명의 전문의만 근무 중이다. 업무 강도에 비해 낮은 보수와 체력적 한계 등으로 인해 이같은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상황이 좋지않다보니 ‘워라밸’을 중시하는 젊은 의사들은 더욱 꺼리고 있다. 원광대병원 권역외상센터의 현실은 가장 상징적이다. 지난 17일 전주시 팔복동 전주페이퍼 공장에서 3명의 근로자가 뜨거운 분진에 전신 2~3도 화상을 입었으나 이들은 응급헬기 등을 이용해 각각 87㎞, 117㎞ 떨어진 대전과 충북 오송의 화상전문병원으로 이송되기도 했다. 이런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할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의료당국은 당장 이에대한 해법을 제시할 것을 촉구한다. 대선에 나선 여야 주자들도 사소한 듯 해도 중요한 지방의료의 현실을 외면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