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의 정책 신설 및 행정집행이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기획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교육의 씽크탱크로 불리는 전북 미래교육정책연구소(소장 남궁상운)는 23일 “올해 신설된 ‘빅데이터담당’을 중심으로 전략적 기획에 기반을 두고 조직을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주장은 ‘전북교육청의 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를 위한 진단: 유형 비교와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라는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이다.
전북 미래교육정책연구소는 전국 시·도교육청과의 비교·분석 등을 통해 △정책설계 전략 △조직 관리 전략 △인사 관리 전략 △조직문화 정착 전략 등 4가지 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대안을 제시했다.
정책 설계 전략의 경우 도교육청의 중점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구조화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행정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봤다. 데이터를 정책 주기와 유기적으로 연계해 분석하는 로드맵을 설계하고, 정성적 속성을 가진 정책과제에 대한 지표화 및 수집체계 정비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조직 관리 전략과 관련해서는 빅데이터담당이라는 전담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확립하는 동시에 빅데이터담당과 미래교육정책연구소의 관계 설정 및 역할 조정이 필요하다고 봤다.
인사 관리 전략은 부서별 데이터 관리자 제도를 도입하고, 맞춤형·평가연계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데이터 활용 역량을 체계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조직 문화 정착 전략은 데이터 기반 성과보고 체계를 정착하고, 성과 분석 및 환류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 리더 중심의 데이터 활용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인천·경기·대구·세종·서울 교육청은 데이터 기반 행정을 실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남궁상운 소장은 “데이터 기반 고도화를 위한 4가지 관점의 정책적 제안은 모두 전략적 기획이라는 큰 틀에서 조화를 이루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북교육청 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