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대광법) 개정안이 오는 10월 시행을 앞두면서 전주권 광역교통망 사업을 정부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에 반영해야 하는 전주시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용역을 통한 신규 사업 발굴, 지자체 간 협의 등을 완료하기엔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을 올해 연말 최종 고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이미 부산·울산권, 광주권 간담회를 진행했다. 올해 상반기 내 대구권, 대전권, 수도권 등 다른 대도시권 간담회도 예정돼 있다.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대광법 개정안 공포로 대도시권에 포함된 전주시와 전북도 등은 부랴부랴 전주권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준비하고 있다. 대광법 개정안 시행 전까지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할 신규 사업 발굴 등이 필요해서다.
이러한 상황 속 우범기 전주시장은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권 광역도로 구상안을 발표했다.
우 시장은 이날 과학로(전주 에코∼완주 삼봉)와 쑥고개로(전주 서부∼김제 금구), 완주로(전주 호성∼완주 용진), 원당교차로(전주∼완주 구이) 등 도로 확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방도 702호선(전주 효자∼완주 이서∼김제 용지) 등 도로 신설 계획도 내놨다. 이들을 광역도로로 인정받아 국비 지원을 받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전주∼완주∼익산∼군산 광역철도 구축, 광역버스 도입 등도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하겠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우 시장은 "사업 우선순위를 정해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을 추진하겠다"며 "가능하면 국비 지원을 100% 받을 수 있는 국도 승격 등도 함께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가짓수만 채운 사업 나열로는 대광법 개정안에 따른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광역교통시설 사업이라도 사업 타당성이 낮으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지 못해 사업이 추진되지 않기도 한다.
더욱이 광역교통시설은 두 개 이상의 지자체를 연결하는 만큼 지자체 간 공동 노력이 필수적이다.
특히 최근 강희업 대광위원장이 5차 광역교통시행계획부터는 지방권 광역교통망 활성화에 비중을 두고 도시개발계획과 맞물린 광역교통망을 살펴보겠다고 밝힌 만큼 전주를 중심으로 한 익산, 김제, 완주 등 전주권 광역교통망의 큰 그림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