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올해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을 위해 사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지난 3월 공포된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해상풍력 특별법’) 제정 및 2026년 3월 시행을 앞두고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법률 시행 이후에는 정부 주도로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전 집적화단지로 우선 지정받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군산시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는 약 1GW급 발전 용량이 목표이며, 사업구역은 군산시 어청도 인근 해역(약 180㎢)이다.
해당 해역은 우수한 풍황(바람의 질이나 양) 자원을 보유해 경제성이 높고, 지속적인 주민 소통을 통해 높은 수준의 주민 수용성까지 확보한 우수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시는 집적화단지 지정을 받아 주도권을 확보하고 공공개발 방식으로 단지개발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시는 현재 ‘해양 입지’ 컨설팅 등 집적화단지 지정을 위한 사전절차를 이행 중이다.
이와함께 △풍황 계측을 위한 공유수면 점용·사용 협의 △전력 계통 연계를 위한 한국전력과의 협의 △주민설명회·사업자 포럼 개최 등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시는 집적화단지 지정 이후 조성 단계에서 지역의 경제·산업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에도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8일에는 시장·부시장 및 관계 국·과장을 대상으로 ‘군산시 해상풍력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해상풍력과 연계한 지역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앞으로 해상풍력 TF팀을 조직해 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관광 활성화 등 통합 전략을 본격적으로 수립해 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지자체 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조성으로 군산시가 명실상부한 에너지 자립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며 “해상풍력 산업을 통해 배후항만 지정과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이바지할 것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