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옛 대한방직 아파트 고분양가 공적 개입하라"

자광, 평당 분양가 2500~3000만원 제시
환경단체 고분양가 비판하며 인하 촉구

한승우 전주시의원과 정현숙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가 14일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문민주 기자

전주 옛 대한방직 부지에 들어설 주상복합아파트 분양가를 두고 전북 환경단체가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정현숙 전북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와 한승우 전주시의원은 14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옛 대한방직 부지를 개발하는 자광이 주상복합아파트 분양가를 평당(3.3㎡) 2500∼3000만원으로 제시한 데 대해 "전주를 아파트 투기장으로 만들셈이냐"고 비판했다.

자광이 제시한 예상 분양가는 최근 분양된 감나무골 재개발 아파트(평당 1490만원), 기자촌 재개발 아파트(평당 1465만원)의 두 배에 달한다.

이들은 "자광은 대한방직 부지 개발사업 인허가 과정에서 많은 혜택을 받았다"며 "이 과정에서 개발이익을 극대화한 만큼 자광의 아파트 분양가가 높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와 시민이 부담해야 하는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비용을 고려한다면 외려 제시한 분양가를 대폭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전주시의 적극적인 공적 개입도 촉구했다.

정 대표와 한 의원은 "자광이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신청한 만큼 분양가를 포함한 도시계획의 공공성과 사업추진의 투명성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며 "분양가의 산정 기준, 택지 비용, 건축비 내력 등을 공개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초고층 관광타워와의 동시 준공, 동시 착공을 약속한 만큼 승인 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행보증증권 등 안전장치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한편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은 옛 대한방직 부지(약 23만㎡)에 관광타워와 호텔, 복합쇼핑몰, 주상복합아파트 등을 짓는 내용이다. 관광타워는 470m 높이, 호텔은 200실 규모로 계획됐다. 주상복합아파트는 3395세대가 들어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