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산항발전협의회(회장 고병수)는 군산항 준설토의 자원화 대책 마련과 함께 상시 준설체계 구축을 대선 공약에 반영해 줄 것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15일 오전 임시 이사회를 열고 현재와 같은 땜질식 준설로는 군산항은 물론 국가적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는 항만인들의 의견을 수렴, 이같이 요청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개항 126년의 도내 유일 국제 무역항인 군산항은 1990년 금강하구둑의 건설로 토사매몰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면서 수심악화로 항만운영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군산항은 현재 외견상 31개 선석의 종합무역항만으로 성장했지만 입항 선박이 뻘에 얹히는 등 부두가 제기능을 충분히 하지 못함으로써 대형 선박들은 기항을 취소하거나 기피하고 있다.
도내 항만수출물량의 80%, 수입물량의 40%를 평택항이나 광양항 등 다른 항만에 의존하고 있으며 군산항을 이용하고 있는 도내 수출입업체도 5%미만에 불과하다.
이같은 현상은 군산항에 매년 300만㎥의 토사가 매몰되고 있지만 정부는 100만㎥정도만을 준설할 수 있는 예산을 배정함으로써 우선 급한 곳부터 준설하는 땜질식 준설을 반복, 200만㎥의 토사가 누적됨으로써 수심악화가 심화되고 있는데서 비롯되고 있다.
특히 군산항의 준설토로 700만평의 군산국가산단(약 800개 업체 입주, 1만명 근로자 고용) 등이 조성돼 국토확장과 함께 지역경제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 정부는 준설토가 가진 이같은 자원화 가치를 외면하고 있는 것도 큰 원인의 하나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따라 앞으로도 정부가 현재와 같은 땜질식 준설 행태를 벗어나지 못한다면 군산항은 나락으로 떨어져 지역경제에 치명타를 안겨줌은 물론 국가적 손실을 가져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군산항만인들은 " 위기에 처한 군산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준설토를 자원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상시준설체계를 갖춰 수시로 준설을 함으로써 부두가 제 기능을 다하도록 하는 방안 밖에 없다"면서 대선 후보들의 관심을 촉구했다.
고병수 회장은 " 정부는 현재와 같은 소극적인 준설자세에서 벗어나 준설토의 가치 극대화 방안을 마련하고 아울러 1년내내 토사가 쌓이는 특성을 감안, '군산항 준설특별법' 이라고 제정해 상시준설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며 이를 대선공약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한편 협의회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 힘 등 각당 대선 캠프에 이같은 내용의 건의문을 발송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