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에너지기술공유대학’ 공모 선정…국비 58억 원 확보

산업부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최종 선정…6년간 석·박사급 230명 육성
전북·전남·광주 공동 컨소시엄 구성, 호남권 고급 인재 양성 거점 확보
전북은 수소·ESS·전력계통 중심 74명 목표…새만금 등 연계 활성화

전북특별자치도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에너지인력양성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며 국비 58억 원을 확보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전북은 미래 에너지산업을 이끌 석·박사급 고급 전문인재를 집중 양성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는 평가다.

22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이번 사업의 핵심인 에너지기술공유대학은 지자체와 대학, 연구기관이 협력해 에너지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산학연 협력형 교육 플랫폼이다. 전력계통,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소 등 에너지 전환 핵심 분야에 특화된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해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실무형 인재를 배출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공모는 전북·전남·광주 3개 광역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응모했으며 지난 2월 사업공고 이후 발 빠른 공동 대응과 전략적 기획을 통해 4월 평가에서 최종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도는 구체적으로 전북테크노파크를 주관기관으로, 전북대(수소 분야), 전주대(ESS·전력계통 분야)가 참여한다. 전남도는 녹색에너지연구원을 중심으로 한전공대, 순천대, 목포대가, 광주광역시는 광주TP와 전남대, 조선대가 각각 협력한다. 6년간 총 230명의 석·박사급 인재가 육성될 예정이며 이 가운데 전북은 74명의 인재를 길러낸다는 목표를 세웠다.

앞서 도는 새만금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스마트 그린국가 시범단지,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에너지산업 기반을 빠르게 확장해 왔다. 하지만 현장 수요에 부응하는 고급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은 미비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이번 공모 선정은 ‘기반 구축’을 넘어 ‘사람 중심 산업 육성’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도는 지역 대학, 혁신기관, 기업과 함께 지·산·학 연계 교육 플랫폼을 조성하고, 현장 밀착형 기술 공유와 기업 애로 해결 중심의 연구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신원식 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이번 사업은 전북이 미래 에너지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호남권 연계 협력을 기반으로 인재를 키우고 기술을 축적해, 전북을 글로벌 에너지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