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위기가구를 위한 장기 맞춤형 복지 대응체계를 새롭게 가동한다.
26일 시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자격이 중지된 가구에 대해 최대 3년간 장기적으로 관리하는 ‘위기가구 3년 집중관리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는 복지 서비스에서 벗어난 이후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는 가구에 대한 선제적·지속적 대응체계 마련의 일환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파악된 수급 중지 가구 2000여 세대를 대상으로 생활 실태 점검과 위기 징후 분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장기 관리에 돌입한다. 또 향후 수급 자격이 변동되는 신규 가구 역시 동일하게 관리 체계에 포함한다.
특히 시는 수급 중지 후 초기 3개월간 집중 상담 및 점검을 실시하며, 이후에는 가구별 위험도에 따라 월 1회, 분기 1회, 연 1회로 모니터링을 최대 3년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위기 상황이 장기화하거나 반복되는 구조를 사전에 차단하고, 공적 지원 체계 밖에서도 끊기지 않는 복지망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현장 점검은 읍면동장과 복지공무원뿐 아니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통·이장, 행복지킴이 등 지역 인적 안전망이 함께 참여해 민관이 협력하는 체계로 진행된다.
위기가구에 대해 경제적 어려움뿐 아니라 심리적 고립과 정신적 위험까지 함께 살피는 대응도 강화된다. 정신건강복지센터, 통합사례관리상담사 등 전문기관과 위기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현장에서 즉시 개입 가능한 협업 체계를 운영해 위기의 고리를 조기에 끊는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현행 복지제도가 ‘신청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만큼, 정보 접근성이 낮은 고립가구나 정신·신체적 제약이 있는 이들이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험 신호에 선제적으로 개입하고, 제도 개선 사항은 중앙정부에 지속 건의할 예정이다.
정헌율 시장은 “복지 행정은 단지 제도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진심이 담긴 관심과 지속적인 돌봄이 전제돼야 한다”며 “시는 앞으로도 시민 한 분 한 분의 어려움에 귀 기울이며 사각지대 없는 복지 안전망을 실현하기 위해 더욱 세심하고 촘촘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