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정부 첫 예산 전북몫 찾는게 관건이다

제21대 대선 사전투표가 29일부터 30일까지 치러진다. 6월 3일 본투표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사실상 차기 정부를 향한 본격적인 표심이 행사되고 있는 것이다. 국가와 민족의 명운이 달려있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선거인데 지극히 범위를 좁혀보면 항상 낙후의 굴레를 벗지 못하고 있는 전북의 장래가 달려있는 선거이기도 하다. 블랙홀처럼 수도권으로 인적, 물적 자원이 빨려들어가는 현실속에서 지역균형발전은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대한 과제가 됐다. 그 한가운데에 전북이 있기에 우리는 곧 출범할 새정부에서 과연 어느 정도로 전북몫이 돌아올 수 있을지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사실 선거 공약이라고 하는 것도 구체적으로 현실화하는 것은 예산의 뒷받침이 있어야만 가능하다. 침체를 거듭하는 국제경제 속에서 부단하게 활로를 찾아야하는 중앙정부가 과연 지역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질지 도민들은 매우 민감하게 바라보고 있다. 단기적으로 전북특별자치도의 활로는 2026년도 국가예산 확보 여부에 달려있다. 이미 정부 각 부처에서는 사실상 1차 예산을 확정짓는 단계에 이르렀다. 기재부나 국회 예산심의 과정은 나중의 문제고 우선은 끝까지 중앙부처에 대한 전방위 대응에 나서야 한다. 전북도는 2026년 국비요구액 총 7,984억원의 부처단계 중점사업 110건을 선정한 바 있다. 이제 기재부 심의 단계로 이어지는만큼 예산반영에 모든 역량을 쏟아야 한다. 대선을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정치권이나 일선 시군과 협업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지금부터는 바짝 고삐를 당겨야 한다. 사실 전북은 오래전부터 3중 소외론에 빠졌다. 균형발전은 지방을 동정하거나 배려하는게 아니다. 이 나라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수도권에 치이고,  영남에 치이고, 호남에서도 홀대받는 현상은 이제 없어져야 한다. 민주당, 국민의힘을 막론하고 전북지역 공약은 솔직히 별것이 없다. 더욱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부족함은 물론이다. 아쉬운 상황속에서 전북도와 도내 14개 시군은 새정부 출범 첫해 과거와는 전혀다른 예산을 확보하는데 총력을 기울여라.  정교하면서도 열정으로 무장하지 않으면 안된다. 전북 정치권도 이젠 말의 성찬을 끝내고 내년 예산 확보에 올인해서 도민기대에 화답하기를 거듭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