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향에서] 서울에서 만난 전북- 헨리 아펜젤러

양중진 법무법인 솔 대표 변호사

우암 송시열, 해공 신익희, 헨리 거하드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 이 분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우암은 서인이자 노론의 영수로서 사후에 종묘에 배향되었습니다. 그는 유배지인 제주도에서 한양으로 상경하다 정읍에서 사약을 받았습니다. 해공은 초대와 2대 국회의장을 지내고 1956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습니다. 유세를 위해 호남선 열차를 타고 내려가다가 익산에서 급서하셨지요. 아펜젤러는 미국 감리회 선교사로 1885년 조선에 입국하여 배재학당과 정동교회 등을 세웠습니다. 1902년 배를 타고 목포로 향하던 중 군산 앞바다에서 배끼리 충돌하면서 물에 빠진 여학생을 구하려다 하나님의 품으로 돌아가셨지요. 2007년 군산에 아펜젤러노블기념관과 순교기념교회가 건립된 이유입니다. 

이쯤 되면 정답을 아시겠지요. 전북에서 태어나거나 활동한 것은 아닌데, 전북에서 삶을 마치신 분들입니다. 그중 아펜젤러는 우리나라 사람도 아닌데 이역만리 머나먼 곳에서 생의 마지막을 맞이했습니다. 양화진 외국인 묘역에 가면 그의 묘비를 발견할 수 있지만, 사실은 유해를 찾지도 못했습니다. 

‘덕수궁의 돌담길 옛날의 돌담길...... 정동교회 종소리 은은하게 들리면’, ‘덕수궁 정동길에 아직 남아 있어요. 눈 덮힌 조그만 교회당’

혜은이의 ‘옛사랑의 돌담길’과 이문세의 ‘광화문 연가’ 중 일부입니다. 여기에 등장하는 정동교회와 조그만 교회당이 바로 아펜젤러가 세운 그 교회입니다. 그러고 보면 그는 1885년부터 지금까지 140여년 동안 여전히 우리의 마음에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아펜젤러는 1858년 펜실베니아주에서 태어나 1885년 목사 안수를 받고 부인과 함께 제물포항을 통해 입국했습니다. 그리고 그해 11월 서울에서 딸 앨리스를 낳았는데,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최초의 서양 아기라고 합니다.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가다 보면 갈림길에 정동교회가 보입니다. 그곳에서 왼쪽 언덕길로 오르다 러시아대사관을 지나면 빨간 벽돌로 된 오래된 건물이 서있습니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이라는 현판과 함께. 그곳에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이 비로소 시작된 것이지요. 최초에는 두 명의 학생으로 시작했는데, 빠르게 늘어 1886년에는 스무 명을 넘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고종이 ‘배재학당(培材學堂)’이라는 현판을 직접 써서 하사했습니다. ‘인재를 양성하는 배움터’라는 뜻이지요.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지청천, 여운형 선생 같은 분들이 그곳에서 배운 분들입니다. 지금도 그곳에 가면 책을 읽고 있는 아펜젤러의 모습을 볼 수 있지요.  

그가 세운 정동제일교회는 독립운동가들이 모이거나 독립운동가들을 후원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종교시설인 데다가 외국인이 운영하는 곳이다 보니 일제의 감시에서 조금이나마 자유로울 수 있었기 때문이지요. 3·1 운동 당시에는 담임목사 이필주와 전도사 박동완이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또 유관순 열사도 정동제일교회 신자였지요.

그의 사후에도 부인과 아들, 딸은 여전히 조선에 남아 교육과 선교활동을 펼쳤습니다. 현재는 양화진 묘역에 함께 묻혀 있지요. 그는 조선에서 태어나진 않았지만 누구보다 조선을 사랑했습니다. 국적을 불문하고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한 것이지요. 

호국보훈의 달 6월입니다. 헨리 아펜젤러라는 이름을 한번 기억해보면 어떨까요.

양중진 법무법인 솔 대표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