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대한민국, 전북이 문을 연다] ① 3중 소외 딛고 대도약의 포문 여는 전북

이재명 정부 7대 전북공약, 전북 비전과 정면으로 맞닿아
SOC·신산업·문화·농생명…메가비전 74개 사업 본격 추진
균형발전 힘입어 서울대 10개 만들기, 특례시 지정 등 추진

한 시대가 저물고, 또 다른 시대의 문이 열렸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침체와 소외 지역이었던 전북이 변방을 넘어 ‘국정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후보시절 발표됐던 전북 7대 공약에는 전북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들이 담겨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이미 65조 규모의 메가비전 프로젝트를 발굴해 공약 실천을 위해 대응 중이다. 대선 공약과 지역 비전이 정확히 맞물릴 때, 국정은 실현력을 얻고 지역은 도약의 날개를 달 수 있다. 4차례에 걸쳐 대선공약에 대한 이행 촉구와 전북 비전이 어떻게 맞물리고 있는지, 전북은 이과정에서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 짚어본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이재명 대통령의 7대 전북 공약과 도의 메가비전 프로젝트 간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국정기조에 맞춰 사업 구조를 세분화하고, 제도 개선과 재정 전략을 병행하며 실행력을 끌어올리는 중이다.

특히 이번 정부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했다는 점에서, 대선 캠프 시절의 공약이 그대로 국정과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기에 세부 실행 과제를 보다 명분있게 발굴하고 추진해야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9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7대 공약은 △경제 재도약 △신산업 육성 △문화강국 도약 △농어업·지역산업 발전 △교육·의료 격차 해소 △지방 분권·균형 발전  △탄소 중립·미래 도시 조성이다. 이 항목들은 전북의 메가비전 74개 사업과도 연계된다.

경제 분야에서는 새만금 신항, 국제공항, 전주~대구 고속도로 등 광역 인프라 조기 구축이 핵심이다. 신산업 부문에서는 RE100 기반 새만금 국가산단과 이차전지·AI·우주소재 등 기술 집적화가 추진된다. 문화 분야는 후백제 고도 복원, K-컬처 본향, 콘텐츠단지 조성,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가 중심축이다.

농생명 산업은 김제·순창·진안 등에 조성되는 정밀농업, 푸드테크 특화지구로 구체화되며, 교육·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의대·전북과학기술원·KAIST 캠퍼스 유치도 가속화된다. 금융특화도시와 ‘서울대 10개 만들기’ 전략도 전북이 주요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공약은 전북에 실질적 제도개편의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도는 완주-전주 행정통합을 통해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권역 단위 연계 전략의 선도사례를 추구하고 인구 75만 특례시 진입과 전북 광역행정 재편의 마중물로 만들기 위해 주민 주도형 숙의 공론화와 국가 차원의 재정·법률 지원 체계를 요청 중이다.

특히 새만금 지역은 기존 광역행정 체계로는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의식 아래, ‘새만금 특별자치단체’ 설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도는 이 구상이 제도화될 경우, 해양·산업·관광 기능이 통합된 초국가급 거버넌스로서의 새만금 모델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