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의 폐수처리가 논란이 되고 있다. 고염도 폐수와 유해 중금속 폐수 처리를 둘러싸고 입주 기업들과 새만금개발청, 군산시, 어민·환경단체들의 입장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국적인 문제로 정부가 나서 전용폐수처리장 건설 등 대책을 마련했으면 한다.
정부는 2023년 7월 새만금과 울산, 오창, 포항 등을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했다. 이를 전후해 새만금에는 LG 화학, SK온, LS, 에코프로, 엘앤에프 등 굵직한 기업 22개가 입주했으며 현재 7개 업체가 가동 중이다. 이와 관련해 새만금개발청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10조2000억원의 투자 유치 성과를 거두었다고 홍보했다.
그러나 이차전지는 최첨단 산업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반면 많은 전력과 용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 리튬배터리 4대 소재의 제조공정에서 다량의 이차전지 폐수가 발생한다. 새만금의 경우 입주업체가 완전 가동하게 되면 하루 평균 9만6000톤의 폐수 배출이 예상된다. 하지만 이를 처리할 방법을 두고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환경부는 기업들이 폐수의 염도를 일정 기준 이하로 낮춘 후, 바다로 직접 방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반면 입주 기업들은 해양 직방류를 위해서는 이차전지 기업들이 고도 처리설비를 갖춰야 하는데 기업 당 수백억 원에 달하는 설비비용과 유지관리 부담이 적지 않아 난색을 표하고 있다. 또 군산시는 시가 운영하는 공공폐수처리시설로는 이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군산시 폐수처리장의 일일 처리용량은 4만3000톤이며 이미 85%가 가동 중으로 사실상 포화 상태다. 어민들과 환경단체의 반발도 거세다. 바다 직방류의 경우 해양 생태계 훼손과 어업에 큰 피해가 있어서다. 지난해 8월, 군산과 부안‧고창 어업인 1200여 명이 새만금개발청 앞에서 “일방적 오염폐수 해양방류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며 시위를 벌였다. 포항도 지난해 11월 전국의 환경단체들이 모여 영일만 무단방류를 규탄하는 고무보트 시위를 벌였다.
이차전지는 초기 투자와 유지비가 많이 드는 구조인 만큼 입주 기업에게 모두 부담시키기는 어렵다. 또 해상 직방류는 오랫동안 후유증이 남게된다. 정부는 전국의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대해 조속히 폐수처리 대책 마련에 나섰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