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연금공단 이전 10년, ‘지역 상생’ 아쉽다

국민연금공단이 전북혁신도시로 옮겨온지 어느덧 10년이 됐다. 지난 11일 지역사회 기관·단체장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전북 이전 10주년 기념행사’도 열었다. 공단은 전북시대를 맞아 글로벌 대형 연기금으로 성장하는 등 도약을 이어가고 있다. 10년 사이 연기금 규모는 512조원에서 1227조원으로 늘었다. 세계 3번째 규모의 막대한 기금을 운용하면서 국내외 자산운용사들을 유치하는 등 금융도시 전북의 이미지도 높였다. 마을자치연금 도입과 지역농산물 소비촉진 등 지역사회 공헌 활동도 펼쳤다.

하지만 지역 상생과 협력 측면에서는 여전히 아쉬움이 크다. 사실 국민연금공단은 10여 년 전 전북 이전이 결정될 때부터 논란의 대상이었다. 당시 주공과 토공이 통합하면서 탄생한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경남 진주로 이전하고, 대신 그보다 덩치가 훨씬 작고 지방세수 차이도 큰 국민연금공단이 전북으로 오게 되면서 지역사회에 엄청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도민들의 상실감도 컸다. 이후 공단의 핵심조직인 기금운용본부 동반 이전을 놓고도 논란이 많았다.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한 국민연금을 운용하는 기금운용본부가 우여곡절 끝에 전주로 옮겨왔지만 이후에도 서울 이전설이 나돌면서 파문이 일었다.

이처럼 논란이 많았지만 기대한 만큼의 지역사회 파급효과는 없었다. 국민연금공단은 특수법인으로 지방세 납부액이 적어 지역사회 경제적 파급효과가 미미하다. 경남으로 이전한 LH와 비교되는 부분이다. 국민연금공단을 발판으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기대하고 있지만, 지금으로서는 희망고문일 뿐이다. 국민연금 대체투자처로 도민들이 소망하는 새만금을 적극 검토해 볼 만한데도 아직껏 투자는 이뤄지지 않았다. 게다가 아직도 주말이면 수도권으로 향하는 전세버스들이 공단 앞에 줄지어 늘어서 임직원들을 기다린다.

전북 이전 10주년 기념식에서 김태현 이사장은 “전북지역과 상생하고 함께 발전하는 국민연금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농촌진흥청과 함께 전북혁신도시의 대표 공공기관인 국민연금공단에 거는 도민들의 기대는 여전히 높다. 우여곡절이 많았고 도민에게 실망도 안겨준 만큼, 전북 이전 10주년을 계기로 지역사회 상생 모델을 다시 만들어 가야 한다. 지역상생, 동반성장이 수년째 말로만 외치는 ‘속 빈 강정’이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