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외교 지평이 넓어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김영삼 정부가 ‘세계화’를 국정지표로 설정하면서 변화가 시작됐지만, 외교정책으로 보자면 우리의 세계화는 그 이후에도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 잘사는 나라들에 편중돼 있었다.
참여정부 시절, 콜롬비아 대사로 임명된 송기도 전 전북대 교수는 이러한 환경을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 등 제 3세계의 국가들이 여전히 변방에 머물러 있는 편향된 ‘세계화’였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그가 덧붙인 말이 있다. "중남미는 한국이 ’세계화‘를 비로소 완성할 수 있는 대상이다."
중남미 국가들은 냉전 시대부터 우리나라와 우호적 관계를 견지해왔다. 덕분에 수교도 일찍 이뤄졌지만, 본격적으로 외교가 강화된 것은 중남미 국가들의 환경이 큰 폭으로 변화한 2000년대 들어서다. 중남미 최대 국가인 브라질은 그 변화를 이끈 대표적인 국가다.
2023년 1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가 브라질 39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중임으로 8년 임기를 마치고 퇴임한 지 12년 만의 복귀였다.
룰라는 빈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할 정도로 가난했던 그는 어린 나이에 금속공장 노동자가 됐다. 노동 운동에 투신한 이후 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해 일했던 그는 뛰어난 지도력으로 노동자들을 이끌면서 노동자당을 창립, 정치에 입문했다.
2002년 대선은 룰라의 네 번째 도전이었다. 당시 브라질은 부도 위기에 몰려 있었다. 물가는 치솟고, 실업자는 거리로 쏟아져 나왔으며 국가재정은 바닥이 났다. 룰라는 강경노조지도자, 좌파 대부란 이미지를 벗고 중도 좌파로 변신했다. 정책도 성장을 우선하는 자유무역에 주력했다. 그가 선택한 실용주의 노선은 주효했다. 룰라가 집권했던 8년, 브라질은 부채를 해결하고 세계 8위 경제 대국이 됐다. 빈민은 크게 줄고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은 안정됐다. 퇴임할 때도 국민은 그에게 높은 신뢰와 지지를 보냈다. 그러나 룰라는 정부의 부패척결수사 표적이 되어 부도덕한 정치인으로 몰락했다. 뇌물수수 혐의로 실형을 받고 피선거권까지 박탈당하면서 그의 정치생명은 끝난 듯 보였다. 그러나 룰라는 다시 일어섰다. 2021년 3월, 브라질 대법원은 그의 모든 혐의를 무효화 했다.
G7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룰라 대통령이 만났다. 가난한 어린 시절, ‘소년공’으로 노동 현장을 지켰던 두 대통령은 성장 과정과 굴곡진 정치역정이 빼닮았다. 국정 방향도 두 대통령 모두 통합 정치와 실용주의 노선이다. 들여다보면 2000년대 브라질이 성취했던 결실은 눈부시다. 룰라 대통령의 선택이 전하는 메시지가 우선 반갑다. /김은정 선임기자